사회 사회일반

비만 년 사회경제적 비용 8년새 2배 뛰어 7조 육박

흡연과 3000억밖에 차이 안나… 음주는 9조4000억 달해

"건강증진사업 비만·음주로 확대해 건보재정 부담 낮춰야"



음주와 흡연·비만 등으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이 연간 23조3,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비만은 8년 새 2배 이상으로 증가해 연간 6조8,000억원에 육박했다. 담배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에 3,000억원 정도 차이로 근접한 것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4일 발간한 '주요 건강위험요인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규제정책 효과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3년 기준 음주·흡연·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총 23조3,477억원으로 산출됐다. 23조3,477억원은 건강보험 보험료 수입의 59.8%, 건강보험 총진료비의 45.8%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 가운데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9조4,524억원으로 가장 컸고 흡연은 7조1,258억원, 비만은 6조7,695억원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비용에는 의료비·교통비·간병비 등은 물론 아파서 일을 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생산성 손실 및 저하액, 조기 사망으로 인한 미래 손실 소득액 등도 포함됐다.

음주·흡연·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2005년 13조5,000억원에서 2007년 17조5,000억원, 2009년 20조2,000억원, 2011년 21조6,000억원 등으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비만이다. 2005년 3조431억원이었던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2013년 6조7,695억원으로 수직상승했다. 이 기간 122%나 증가했다. 증가율로 따지면 음주(56%), 흡연(62%)의 2배 수준이다.

사회경제적 비용 중에서는 의료비(39.1%)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조기사망 비용(35.9%), 생산성 손실액(13.9%), 생산성 저하액(6%)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음주와 흡연은 조기 사망으로 인한 비용이 각각 42.3%, 47.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비만은 의료비 비중이 64.2%로 가장 높았다.

이선미 건강보험쟁책연구원 연구원은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가장 크고 비만으로 인한 비용이 급증하고 있다"며 "건강보험 재정부담을 줄이기 위해 건강증진사업 대상을 비만과 음주 등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co.kr


관련기사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