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중 외교 통화… 북핵 대응 본격화

청와대 "시진핑 주석과 통화 등 中 협조방안 다각 검토"

정부가 북한의 '수소폭탄 실험' 이틀 만에 중국과의 북핵 대응에 본격 나섰다. 그동안 중국과의 관계에 공을 들여온 우리 정부가 중국을 대북압박 공조체제로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외교부에 따르면 8일 저녁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전화통화를 했다.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조만간 전화통화를 갖고 지난 6일에 이뤄진 북한의 제4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과 한중 공조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양국 정상이 전화통화 등을 통해 협조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장관과 왕 부장은 이날 통화에서 북한 핵실험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을 교환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추가 대북제재 등 향후 대응책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약 3시간 앞서 6자회담의 한중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우다웨이 중국 한반도특별사무대표도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핵실험 관련 상황 평가를 공유하고 향후 긴밀히 협의해 대응해나가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 간 통화가 성사되면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각각 진행된 한미·한일 정상 간 전화통화에서는 중국과의 공조가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서정명·노희영기자

nevermind@sed.co.kr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