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위안화 예금 47억달러… 2년1개월만에 최저

12월 전체 외화예금 585억弗

위안화 예금이 급감하면서 2년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근 위안화 평가절하로 만기 도래한 예금이 속속 이탈하면서 위안화 예금의 인기는 더욱 빠르게 식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거주자 외화예금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체 외화예금은 585억3,000만달러로 전월 대비 37억8,000만달러 줄었다. 거주자 외화예금이란 내국인과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 및 국내에 진출한 외국 기업 등이 은행에 예치한 국내 외화예금을 말한다.

외화예금 잔액은 2개월 연속 줄어 지난 2014년 4월 말(584억2,000만달러) 이후 1년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연간 단위로 비교해서는 전년 대비 25억8,000만달러 줄어 2010년 이후 5년여 만에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연도별 외화예금 잔액은 △2010년 말 232억8,000만달러 △2011년 말 299억3,000만달러 △2012년 말 360억3,000만달러 △2013년 말 484억3,000만달러 △2014년 말 611억1,000만달러 등으로 꾸준히 늘어왔다.

가장 큰 원인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격히 줄기 시작한 위안화 예금이다. 지난해 10월 217억달러로 고점을 기록했던 위안화 예금은 지난해 말 기준 46억8,000만달러까지 줄어 있는 상황이다. 이는 2013년 11월 이후 2년1개월 만에 최저치다. 안태련 한국은행 자본이동분석팀 과장은 "내외금리 차 등 차익거래 유인이 사라지면서 만기가 도래한 정기예금이 모두 빠져나가고 있다"며 "현재 30억달러 정도의 정기예금이 남아 있지만 이도 만기가 되면 다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올 들어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잇따라 절하시킨 것도 위안화 예금 이탈을 부채질하는 요인이다.

달러화 예금은 472억5,000만달러로 2014년 말 360억달러에서 112억5,000만달러 증가했다. 다만 전월 대비해서는 13억7,000만달러 감소했다. 엔화 예금은 지난해 말 현재 33억7,000만달러로 1년 새 10억달러 증가했다. 유로화 예금은 21억4,000만달러로 2,000만달러 늘었다.


관련기사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