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국 IoT 현황 처음으로 파악한다

정부, 산업 실태조사… 이르면 1월 말 보고서 공개

기존 단말기 '숫자세기' 벗어나 센서·네트워크·플랫폼 등 세분화

기업 수·분포·시장규모 담아

중점발전산업 정해 놓고 조사… "통계작성 너무 늦었다" 비판도



정부가 국내 사물인터넷(IoT) 산업의 전반을 파악한 실태조사를 처음으로 실시, IoT 산업 발전을 위한 주요 지표로 활용하기로 했다. '통신 가능한 단말기'로 국한해 IoT의 수요·공급을 파악했던 기존 방식에서 센서나 네트워크, 플랫폼 등 분야까지 확대 조사한 것이다.

12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사단법인 한국사물인터넷협회(IoT협회)는 미래부로부터 연구용역을 의뢰받아 현재 'IoT 산업 실태조사' 보고서를 작성 중으로 이르면 이달 말께 공개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전에 IoT협회 외에 다른 기관에서도 국내 IoT 산업 실태를 조사한 적은 있지만, 통계청이 승인한 국가승인 통계를 작성하기 위한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사의 가장 큰 특징은 IoT를 구성하는 센서와 네트워크, 플랫폼으로 분야를 나눠 각 분야별 기업·시장 현황을 파악, 국내 IoT 현황을 제대로 알아볼 기회가 된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국내 IoT 산업 현황은 이동통신 중심으로 좁은 범위에서 파악된 실정이기 때문이다. 가령 미래부는 매달 IoT 가입자 현황을 발표하는데, 이는 '이동통신사에 가입한 단말기의 수(회선 수)'를 센 것에 불과하다. 유심(USIM) 같은 통신용 가입자 식별 모듈이 탑재돼 있어야만 IoT 이용자로 집계되는 것이다. 미래부 현황은 차량·원격·무선과 태블릿PC, 웨어러블로 유형을 세분화해 가입자를 파악하지만 이 때도 기준은 통신 SIM카드 탑재 여부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국내 IoT 가입자는 약 421만 명인데,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 이동통신 업계 관계자는 "위성항법장치(GPS)와 위치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도 당연히 IoT의 한 종류지만 현재 방식대로라면 IoT가 아닌 게 된다"고 말했다.

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KICI)이 지난달 28일 공개한 'IoT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정부 차원에서 IoT 정책을 펼치려면 전반적인 통계자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효실 정보통신산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사물끼리 통신을 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유형과 이런 유형이 모인 IoT 숫자, 독립 IoT가 정보를 주고 받는 '연결 IoT'까지 IoT의 종류가 다양하다"며 "이를 아우르는 통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국내 IoT 관련 전체 기업의 수와 규모별 분포, 전체 시장 규모 등을 담는다. 처음으로 정부가 파악한 국내 IoT 시장 규모가 나오는 것이다. 그 동안 한국의 IoT 시장 규모는 닐슨이나 가트너, IBM 같은 외국 시장조사 업체나 정보기술(IT)업체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짐작'해온 측면이 있는데, 이제는 국가 공식 통계를 볼 수 있는 셈이다.

다만 정부가 IoT를 중점 발전 산업분야로 이미 삼은 뒤 실태조사가 이뤄져 시기가 늦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IoT라는 방향 제시와 더불어 국내 현황에 맞는 정책을 내놔야 발전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