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혼돈의 야권 어디로] 더민주, "김종인 합류, 기회이자 위기" "경제민주화 기대감" 평가속

"경제민주화 기대감" 평가속 "매우 독단적" 우려 목소리도

혼돈의 야권 어디로…

이용섭, 더민주 복당 기자회견
이용섭 더민주 복당, 지난 2014년 6·4 지방선거 때 더불어민주당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의 광주시장 후보 전략공천에 반발해 탈당했던 이용섭 무소속 전 의원이 17일 오전 국회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실에서 문재인 대표, 김종인 선대위원장이 함께한 가운데 복당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야말로 혼돈의 야권이다. 지난 2012년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를 지지했던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은 안철수 의원의 국민의당에 합류했고 박근혜 후보의 선거대책위원장이었던 김종인 전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선대위원장이 됐다. 노장 정치인이 정국 한가운데에 선 것도 눈에 띈다. 1939년생인 윤 전 장관, 1940년생인 김종인 위원장과 함께 1930년생인 권노갑 전 더불어민주당 고문이 국회에서 마이크를 잡고 탈당을 선언하며 주목을 받기도 했다. '친정'도 '나이'도 잊은 인사들의 등장으로 야권 지지자들도 갈피를 못 잡고 있지만 '대어'로 평가되던 김 선대위원장이 문 대표의 손을 들어줌에 따라 일단 야권 경쟁의 주도권은 더민주가 잡은 모양새다. 하지만 "남은 총선까지는 조선왕조 500년의 역사보다 더 다이내믹할 것"이라는 안철수 의원의 말처럼 '시계(視界)제로'인 야권의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표의 인재영입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국민의당 소속의원들도 "잘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청와대 민정수석, 대선 후보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미 인재풀을 확보하고 있다"며 "무형의 태스크포스(TF)팀이 있다. 앞으로도 인재영입은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김 선대위원장의 영입은 문 대표의 '신의 한 수'로 평가되며 끊임없는 탈당 행렬 속에서도 더민주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문 대표에게 등을 돌렸던 이종걸 원내대표 역시 "김 선대위원장의 합류로 경제민주화에 대한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탈당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박영선 의원 역시 친분이 두터운 김 선대위원장이 당에 들어와 잔류 가능성이 높아졌다.하지만 김 선대위원장의 등장이 기회이자 위기라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윤태곤 정치평론가는 "김 선대위원장은 매우 독단적인 사람이다. 벌써부터 '전권'을 운운하고 있다"며 "문 대표는 김 선대위원장을 따라갈 수밖에 없겠지만 공천 과정에서 내부 의원들의 강한 반발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김 선대위원장이 야권연대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는 것 역시 여야 1대1 구도를 바라는 현역 의원들과 마찰이 예상되는 부분이다. 김 선대위원장은 17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개헌저지선 의석을 확보하겠다고 나간 사람들에게 무슨 명분이 있겠느냐"며 야권에서 제기되고 있는 선거 전 통합과 후보 단일화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밝혔다. 당 전략통 관계자 역시 "이제는 통합을 이야기하는 것 보다 야권의 중심축을 더민주로 가져올 때"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안의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