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올해는 수출이다"

‘Catch the Star, Catch the Global' 슬로건 채택

혁신상품 해외 수출 적극 지원

신적인 아이디어 및 기술 보유한 스타트업, 스타기업으로 육성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16 캐치 더 스타(Catch the Star), 캐치 더 글로벌(Catch the Global)’이란 슬로건을 내걸고 스타기업 발굴과 해외 진출 지원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센터 출범 첫해인 2015년 중소기업 판로 지원 프로세스 구축에 이어 올해 그 범위를 확대해 지원기업의 국외 진출을 돕는다는 게 부산혁신센터의 계획이다. 이와 함께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보유한 스타기업 발굴·육성에도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부산혁신센터는 우선 오는 3월 부산지역 식품업체 생산품을 중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시작으로 센터가 지원하고 있는 기업의 혁신상품이 해외로 수출될 수 있도록 전방위적 지원에 나선다. 이를 위해 센터는 지난해 12월 지역 식품업체 8곳과 중국 상하이를 찾아 중국 롯데마트, 1004마트, 해지촌 등과 상담계약을 진행했고, 김, 젓갈, 과자 등 10억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또 상반기 중국 상하이지역 롯데마트 점포에 ‘부산 전문관’을 열고 하반기에는 중국 현지에서 국외 상품전과 현지 바이어와의 상담회를 열어 국내 기업의 상품 판로 개척을 지원할 예정이다.

부산혁신센터 관계자는 “이달 말 중국을 재차 방문해 3월에 수출하는 상품의 가격 수준, 포장 패키지 디자인, 판매 점포 범위, 행사 시기 등 세부적인 실무까지 챙길 예정”이라며 “앞으로 중국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 베이비 주스, 당근 주스 등 ‘유기농 과즙음료’나 저염 상품인 ‘저염 조미김’, ‘저염 젓갈’ 등 차별화된 부산 식품 등도 선보일 계획”이라 말했다.

동남아시아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2월 중 중소기업진흥청, 롯데백화점과 함께 20여 개 중소기업을 선정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시장조사와 소싱 박람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재 현지 상황에 적합한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을 선정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2월 중 롯데백화점 동남아 현지 MD을 국내로 초청해 해외사업 설명회도 진행할 예정이다.


유통 외에 영화·영상 분야 국외 교류를 강화한다. 지난해 영화·영상분야 교류를 약속한 뉴질랜드 오클랜드와 산학연계, 취업연계 등의 시스템 교류를 추진한다. 이에 따라 3월에는 우수한 산학연계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오클랜드 공과대학(AucklUniversity of Technology·AUT)과 영화영상학과가 있는 지역 대학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인재육성 및 글로벌 진출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부산의 영화 인재를 육성하고, 부산지역 대학들과의 다양한 연계사업을 지원한다는 복안이다.

관련기사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해 스타기업으로 육성하는 데도 주력한다. 아이디어 또는 기술만 훌륭하면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이를 위해 지난 11일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인 ‘아이디어 팩토리(busanideafactory.co.kr)’를 새롭게 선보였다.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은 생산과 서비스 과정에서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가진 개인 또는 단체가 프로젝트를 제안하면 대안이 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가진 다수가 같이 참여해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참여자와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 인프라가 약한 중소기업이나 지역 기업이 크라우드 소싱을 활용하게 된다면 제품, 서비스 기획, R&D 등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부산혁신센터는 부산신발센터와 함께 오는 2월에 아이디어 팩토리를 활용해 신발 디자인 공모를 진행하고, 3월 중 우수 작품을 선정해 새로운 디자인의 신발을 생산할 계획이다.

사물인터넷(IoT) 분야에서도 다양한 전문가 기획단을 구성해 전문가 멘토링을 지원하고 IoT 기반 콘퍼런스를 진행하고 IT 기술 공모전, 해커톤 대회도 개최해 아이디어 발굴 및 사업화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영화·영상 분야에서도 부산센터의 영화·영상 직무 관련 워크숍과 취·창업 연계 멘토링, 시나리오 공모전 등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할 예정이다.

조홍근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출범 첫 해인 2015년이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초 작업 단계였다면 올해는 작년의 성과들을 발판으로 삼아 글로벌화(Globalization)와 스타기업의 발굴을 목표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co.kr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