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원유 비쌀때 사고 쌀때는 미적… 딜레마 빠진 '전략 비축유 정책'

10년단위 계획 얽매여 저유가 탄력 대응 못해



국제유가 배럴당 30달러선이 붕괴된 지난해 12월. 중국 최대 국영 석유회사인 중국석유화학집단(시노펙)은 남중국해 시사(西沙)군도 일원에 석유비축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베트남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곳에 비축기지를 지어 실효지배권을 강화하는 동시에 싼 유가를 이용해 비축유를 늘리려는 이중포석이었다.

실제 중국은 저유가를 활용한 비축유 확보에 혈안이 돼 있다. 지난해 국제유가가 100달러에서 50달러대로 급락하자 서둘러 1억배럴을 비축해 현재 2억배럴의 전략비축유를 확보했다. 중국은 오는 2020년 5억배럴까지 비축유를 늘릴 방침이다.

하지만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는 중국의 비축전략을 강 건너 불구경하듯 보고 있다. 정부는 국제유가가 물값과 우윳값보다 싸고 비축기지 36%가 비었는데도 추가 비축에는 난색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비축정책 딜레마에 빠졌다고 분석했다. 유가가 쌀 때 비축량을 늘리는 게 국익에 보탬이 되지만 국제 수준을 훨씬 웃도는 비축량을 확보한데다 저장에 따른 관리비용이 만만치 않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빠진 것이다.

2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국 9곳에서 확보한 비축유는 지난해 말 9,260만배럴에 이른다. 이는 원유수입 없이 138일을 버틸 수 있는 물량으로 국제에너지기구(IEA) 권고치 90일분을 능가한다. 97일분을 보유한 일본은 물론 프랑스(77일), 미국(132일)보다 많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신규 확보분을 점차 축소하는 추세다. 정부의 비축유 신규 확보량은 지난 2011년 60만배럴이었지만 △2012년 44만8,000배럴 △2013년 26만3,000배럴 △2014년 27만2,000배럴 △2015년 21만9,000배럴 등으로 줄었다.

문제는 과거에 수립된 10년 단위 비축유 확보계획에 얽매이다 보니 저유가 기조에 탄력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유가가 비쌀 때 비축유를 더 사들이는 상황도 발생한다.

하지만 유가 흐름과 연관성이 떨어지는 비축유 확보계획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4차 석유비축계획(2015~2025)이 수립된 2013~2014년만 해도 유가는 배럴당 80달러를 웃돌았다. 한 정부 출연기관 연구위원은 "비축유의 경제적 활용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저유가 시기에 비축유를 더 많이 구매하는 등 유가 움직임에 따라 비축유 구매량을 탄력적으로 가져가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이상훈·구경우기자 bluesquare@sed.co.kr


관련기사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