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윤병세 "한-이란 고위급방문 머잖아 이뤄질 것"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6일 제재가 풀린 이란과의 관계개선에 대해 "한국은 이란이 가장 신뢰하는 중요한 핵심 파트너 몇 나라 중 하나"라면서 "우리의 경제적·국가적 이익을 극대화할 전략과 시간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오랜 제재기간에 이란에서 떠나지 않고 어려울 때 도운 기업들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손에 꼽을 정도"라면서 "이란 정부가 그 점을 굉장히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고위급 방문도 머지않아 본격화될 것"이라면서 "이미 양국 정부 차원에서 경제관계 강화를 포함해 양자관계를 어떻게 도약시킬 것인지에 대해 상당히 심층적 논의를 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또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언급한 북핵 5자회담에 대해 "북한이 엄중한 도발을 한 이 시점이 5자협의를 할 아주 적절한 때"라면서 "한미중 3자대화도 보다 본격적인 협의를 하기에 아주 좋은 시점"이라고 말했다. 또 "북한의 핵 폐기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은 여러 가지 형태로 추진되는 것이 중국을 포함한 모든 당사국의 이해에 부합한다"고도 했다.

그는 "북한의 핵능력이 자꾸 고도화되면 중국 동북3성의 여러 환경적 문제를 야기할 뿐 아니라 중국을 포함한 주변국들의 안전에도 결코 유리하지 않다"면서 "그래서 이것을 국제사회와 북한 간의 구도로 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수위의 핵심 열쇠를 쥔 중국과 러시아를 견인할 복안과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모든 가능한 대화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 "가까운 시일 내에 제가 러시아를 방문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윤 장관은 또 안보리 제재 외에 양자 차원의 제재, 국제사회의 다양한 압박 수단 등 세 가지 측면이 적절한 시차를 두고 이뤄질 수 있다면서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호주 등 여러 나라가 양자제재를 검토하고 있으며 일부 나라의 경우 세컨더리 보이콧(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 기업·개인 제재) 요소를 도입할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