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수입산에 밀리고 수출은 규제받고…이중고 후판업계 공동대응 나선다

철강협회 내 대응 위원회 설립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참여

선박 건조나 건설용으로 쓰이는 철강재 후판의 공급 과잉으로 전세계적인 무역 분쟁이 확대되자 철강업계가 전담반을 꾸리고 공동 대응에 나섰다.

한국철강협회는 지난 26일 포스코와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주요 후판 제조사들이 참여하는 ‘후판 대응 분과위원회’를 발족했다고 27일 밝혔다. 국내 철강업계가 단일 품목으로 위원회를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계 철강재 공급과잉으로 무역 분쟁이 확대되면서 국내 후판업계는 안으로는 저가 수입산 유입으로 시장을 잠식당하는 가운데 밖에서는 각국의 보호무역 강화에 따른 규제로 수출까지 어려운 이중고를 겪고 있다. 협회에 따르면 한국은 전 세계 17개국에서 70건에 이르는 무역 마찰을 빚고 있으며 후판관련 규제만 7건으로 현재 1건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업계가 함께 종합 대책을 마련하고 대응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이뤄지면서 이번 위원회가 탄생했다.

관련기사



위원회는 먼저 국내 후판의 원활한 수출을 위해 모니터링을 확대하고 통상마찰을 피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한다. 또 특정 업체가 수출국의 불공정한 조치로 피해를 입을 경우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반대로 저가의 불량 수입산이 국내에 유통되는 것을 막기 위해 조기 경보 시스템을 가동하고 불공정 제품에 대해서는 법적 조치를 할 예정이다. 상대국과 시장 여건에 맞는 실효적 대응을 강화하고 정부와도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했다.

철강협회의 한 관계자는 “수시로 실무위원회를 운영하고 다음달 중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짜 본격적으로 활동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