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주산연 “지난해 하반기 분양가 하향 조정세 뚜렷”

건설사 분양가격 수준건설사 분양가격 수준







지난해 하반기부터 서울 아파트 분양가의 하향 조정세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분양가격 수준 점검-서울지역 분양아파트를 대상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아파트 분양가는 해당 동 기존 재고 아파트 평균가의 134%로 2008년 이후 최고치였으나, 하반기에는 10%p 하락한 124%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김지은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최근 공급과잉 우려와 시장위험 확대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분양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분양가격의 하향 조정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소비자가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 적정 가격으로 조정이 진행된다면 미분양 우려는 시장 내에서 일정 부분 완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보고서는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서울시에서 분양된 349개 단지 가운데 235개 단지를 분석했으며, 이 기간 동안 건설사가 제시한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해당 동(洞)의 기존 재고 아파트 평균 가격의 123% (111%~131%) 수준이었다.

연구원은 ‘1순위 청약경쟁률이 1 이상’인 단지들을 분양 성공 단지로 가정했을 때 해당 동 기존 재고 아파트 평균가 대비 분양가 비율 평균은 건설사 평균 분양가인 123%보다 5%p 낮은 118%라고 설명했다. 시기별 평균은 △2008년 116% △2009년 123% △2010년 103% △2011년 121% △2012년 117% △2013년 110% △2014년 126% △2015년 상반기 131% △하반기 122%였다.

김 책임연구원은 “미분양 우려가 증가되는 현 시점에서 건설사는 시장변화에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탄력적인 분양가격 조정을 통해 미분양 발생 감소를 위한 전략적 접근을 지속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가 부담 가능한 분양가격의 심리적 한계선을 넘지 않도록 적정 분양가를 제시하여, 분양시장의 지속적 건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