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위원회가 협력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대기업에 대해 동반성장지수 가점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동반위는 27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팔래스호텔에서 2016년도 동반성장 사업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안충영 동반위원장은 "현재 중소기업과 해외동반진출을 적극 추진하는 대기업에 대해 동반성장지수 평가시 2점의 가점을 부여하고 있는데 이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부 계획은 올 하반기 확정해 2016년 동반성장지수평가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지난해 20조원 수준이었던 상생결제시스템 규모도 60조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상생결제시스템은 대기업의 1차 협력사가 2·3차 협력사에 지급하는 물품대금을 대기업 신용으로 결제해 부도 위험없이 신속하게 현금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동반위는 상생결제시스템 규모를 대폭 늘려 2·3차 협력중소기업의 자금흐름을 원활하게 해줄 예정이다.
안 위원장은 "지난해 말 조세특례법이 개정돼 1차 협력사가 참여할 수 있는 인센티브가 마련된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해 올해 더 많은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동반위의 가장 큰 업무중 하나인 중기 적합업종 운영도 내실화한다. 현재까지 108개 품목이 적합업종으로 지정·운영되고 있는데 올해 만료되는 18개 품목과 새로 신청된 9개 품목의 협상을 신속하게 진행할 예정이다.
동반위는 27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팔래스호텔에서 2016년도 동반성장 사업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안충영 동반위원장은 "현재 중소기업과 해외동반진출을 적극 추진하는 대기업에 대해 동반성장지수 평가시 2점의 가점을 부여하고 있는데 이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부 계획은 올 하반기 확정해 2016년 동반성장지수평가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지난해 20조원 수준이었던 상생결제시스템 규모도 60조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상생결제시스템은 대기업의 1차 협력사가 2·3차 협력사에 지급하는 물품대금을 대기업 신용으로 결제해 부도 위험없이 신속하게 현금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동반위는 상생결제시스템 규모를 대폭 늘려 2·3차 협력중소기업의 자금흐름을 원활하게 해줄 예정이다.
안 위원장은 "지난해 말 조세특례법이 개정돼 1차 협력사가 참여할 수 있는 인센티브가 마련된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해 올해 더 많은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동반위의 가장 큰 업무중 하나인 중기 적합업종 운영도 내실화한다. 현재까지 108개 품목이 적합업종으로 지정·운영되고 있는데 올해 만료되는 18개 품목과 새로 신청된 9개 품목의 협상을 신속하게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