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양방향·다양·개방성으로 '한류 현지화' 원년 만들 것

이수만 SM 총괄프로듀서 '프레젠테이션 쇼' 개최

뉴미디어 플랫폼 확장 등 K팝 콘텐츠 미래 전략 공개

신개념 그룹 'NCT'도 첫선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총괄 프로듀서가 27일 서울 삼성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SMTOWN 코엑스 아티움에서 프레젠테이션 쇼 'SMTOWN: New Culture Technology, 2016'을 열어 에스엠엔터의 새로운 문화기술과 비즈니스를 최초로 공개하고 있다. /사진제공=SM엔터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총괄 프로듀서가 27일 서울 삼성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SMTOWN 코엑스 아티움에서 프레젠테이션 쇼 'SMTOWN: New Culture Technology, 2016'을 열어 에스엠엔터의 새로운 문화기술과 비즈니스를 최초로 공개하고 있다. /사진제공=SM엔터

"올해는 지난 20년간 발전시킨 SM의 네 가지 핵심 문화기술(CT·Culture Thechnology)인 캐스팅·트레이닝·프로듀싱·마케팅을 융합하고 확장해 K팝 콘텐츠를 신문화기술로 재탄생시키고 K팝 발전의 세 번째 단계이자 마지막 단계인 한류의 현지화를 이뤄내는 원년이 될 것입니다."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SM) 총괄 프로듀서는 17일 서울시 삼성동 코엑스 아티움에서 열린 '프레젠테이션 쇼 'SMTOWN : New Culture Technology, 2016'에서 K팝 콘텐츠의 미래 전략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K팝을 주도해온 SM이 제시하는 K팝의 미래 전략은 '양방향(interactive)' '다양(multi)' '개방성(openness)'으로 요약된다. 양방향 개념으로는 팬들이 직접 신인 가수 프로듀싱에 참여하는 게 대표적 예다. 또 세계 주요 도시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다국적 가수팀을 구성해 상시적으로 세계 K팝 팬들과 소통한다는 전략이다. 이날 열린 프레젠테이션 쇼에서는 이 세 가지 전략의 집약체가 될 5개의 프로젝트를 비롯해 올해 데뷔 예정인 신개념 보이그룹 'NCT(Neo Culture Technology)'를 최초로 공개했다.

특히 NCT는 새로운 멤버의 영입이 자유롭고 멤버 수의 제한 없는 새로운 개념의 그룹으로 개방성과 확장성이 포인트다. 이들은 전세계 각 도시를 베이스로 한 각각의 팀이 순차적으로 데뷔하며 팀들 간의 다양한 컬래버레이션 유닛(소그룹)으로 등장한다. 올봄 첫 번째 유닛의 데뷔를 시작으로 상반기 내 서울과 도쿄에서 활동할 팀, 하반기 내 중국어권 주요 도시에서 활동할 팀들이 순차적으로 공개될 계획이다. 또 NCT는 같은 곡의 노래를 각각 현지 언어로 부를 예정이다.

이날 함께 공개된 SM의 5개 신규 프로젝트는 주로 뉴미디어 플랫폼 사업과 콘텐츠 확장에 집중됐다. △매주 특정 요일에 디지털 신곡을 공개하는 채널 '스테이션' △팬들이 SM의 신인 프로듀싱에 참여하는 앱 '루키즈 엔터테인먼트'(지난 25일 오픈) △기존에 운영하던 노래방 앱인 '에브리싱'과 영상제작공유 앱 '에브리샷' 등 모바일 플랫폼 비즈니스 강화 △유명인이 참여하는 '보이는 라디오'와 드라마·예능을 비롯해 스포츠·패션·헬스 등 라이프 스타일을 망라한 MCN(멀티채널 네트워크) 콘텐츠 및 플랫폼 사업 △EDM(일렉트로닉 댄스 뮤직) 레이블 '스크림 레코드' 설립 및 아시아권에서의 EDM 페스티벌 계획 등이다.

이날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는 정보기술(IT) 기업의 신제품 발표회를 연상하게 하는 홀로그램과 그래픽을 활용한 프레젠테이션을 선보여 찬사를 받았다.


관련기사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