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해부터 날씨로 인한 사회적 영향 알려주는 '영향예보' 시행

올해부터 기상청이 일기예보를 할 때 날씨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까지 알려주는 ‘영향예보’를 시행한다.


기상청은 27일 신년업무계획에서 국민들이 기상재해에 적절히 대비할 수 있도록 선진국형 ‘영향예보(Impact-based forecast)’를 시범 실시한다고 밝혔다. 현재 일기예보는 비나 눈이 언제 어디에 얼마나 오는지 등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는데 영향예보를 실시하면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예상 지역, 결빙이나 안개 등에 의해 사고 위험성이 큰 도로구간, 대설이나 강풍으로 인해 항공기·여객선 결항 가능성 등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기상청은 “올해 중 일부 현상에 대한 영향예보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미비점을 개선해 점차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기상청은 또 기상 관련 빅데이터 융합서비스를 확대하고 민간 기상산업에 대한 지원도 이어나갈 계획이다. 올 상반기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민간에 모두 개방해 스타트업 기업과 대학에서 사업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기상산업성장지원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또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통합 가뭄 예·경보를 시행하고 도로에서 발생하는 위험기상정보를 수집·처리하는 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다. 해상안전을 위해서는 현행 12시간 단위로 이뤄지는 해상예보를 3시간 간격으로 조정해 어민 등에게 정확한 기상정보를 전해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