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갈림길에 선 주택시장...주춤하는 전국 집값·전셋값

2016년 1월 전국주택가격동향./한국감정원2016년 1월 전국주택가격동향./한국감정원







전국의 집값과 전셋값이 주춤하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과 주택담보대출 규제 등이 맞물리며 부동산 심리가 얼어붙은 탓으로 분석된다.

3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한 달 전보다 0.04% 올랐다. 그러나 상승 폭은 전달(0.15%) 대비 0.11%포인트 줄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수도권 가격 오름폭이 지난달(0.20%)보다 0.16%포인트 줄어든 0.04%를 기록했다. 지방도 한 달 전(0.11%)보다 가격 상승 폭이 0.06%포인트 하락한 0.05%를 나타냈다.

관련기사



제2 제주공항 개발 호재가 있었던 제주의 주택 가격은 2.05%오르며 전 달(1.78%)보다 상승폭이 커졌고 뒤를 △울산(0.19%) △전남(0.15%) △강원(0.09%) △서울·부산(0.05%) △경기(0.04%)가 이었다.

전세값도 상승세가 꺾인 모습이다. 이번 달 전국 주택 전셋값 상승폭은 한 달 전보다 0.01%포인트 축소된 0.14%였다. 서울·수도권이 전달 대비 0.19%포인트 줄어든 0.37%의 상승률을 보였고, 지방(0.09%)은 0.06%포인트 하락했다. 시·도별로는 제주가 1.09%로 가장 많이 올랐다. △서울(0.23%) △부산(0.20%) △전남(0.19%) △울산(0.18%) △경기(0.17%) △충북·세종(0.14%)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1월 전국 주택 월셋값은 0.01% 오르면서 보합에서 오름세로 돌아섰다.

이달 전국 주택 평균 매매가격은 2억 4,619만원, 전세는 1억 6,163만원으로 전달보다 소폭 올랐다. 월세는 보증금 4,631만원에 월 56만원이었다. 전국 평균 전세가율(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세금 비율)은 전달보다 0.1%포인트 오른 66.1%를 나타냈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