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구조개혁 평가 하위등급 대학… 입시경쟁률도 뚝

취업 불이익 등 우려 지원 꺼려

정부가 지난해 실시한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하위 등급을 받았던 상당수의 대학들의 입시 경쟁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장학금 지원 감소와 취업시 불이익 등을 우려한 수험생들이 지원을 꺼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31일 입시업체 등에 따르면 2016학년도 대학 정시원서 접수 마감결과,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하위등급인 D등급을 받은 대학들 상당수가 수시와 정시 모집 모두에서 경쟁률이 하락했다.

D+ 등급을 받았던 고려대 세종캠퍼스는 2015학년도 수시 모집 경쟁률이 16.8대 1이었지만 2016학년도 수시 모집에서는 8.8대1로 경쟁률이 전년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역시 D+ 등급을 받은 한성대 역시 수시모집 경쟁률이 2015학년도 17.3대 1에서 2016학년도에는 13.1대 1로 대폭 낮아졌다.

D 등급을 받은 호원대는 정시모집 경쟁률이 2015학년도 17.4대1에서 2016학년도에는 12.6대 1로 하락했다. 역시 D 등급이었던 극동대도 정시 경쟁률이 7.2대1에서 3.2대 1로 낮아졌다.

이처럼 하위 등급을 받은 대학들의 경쟁률이 낮아진 것은 이들 대학이 신입생 국가장학금 등 정부의 재정지원에서 제한을 받게 되는 데다 대학 이미지가 나빠져 향후 취업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학생들이 우려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교육부는 지난해 4년제 163개교와 전문대 135개교 등 298개교를 대상으로 구조개혁 평가를 했으며 66개 학교가 D등급 이하를 받았다. D등급 이하 학교는 신·편입생들의 국가장학금 지원 및 학자금 대출이 제한되는 등 불이익을 받게 된다.

/강동효기자 kdhyo@sed.co.kr


관련기사



송대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