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설적 '환투기꾼'인 조지 소로스에 이어 월가 대형 헤지펀드들이 위안화 약세에 베팅하면서 중국 당국과의 환율전쟁이 격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이들 헤지펀드는 중국 정부가 경기 경착륙과 부실은행 파산을 피하기 위해 유동성을 대거 풀면서 추가적인 위안화 가치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 외환보유액이 2조달러대로 줄어들 경우 중국 당국이 통화방어를 사실상 포기하고 투기세력들이 벌떼처럼 달려들면서 위안화 가치가 최대 50%까지 폭락한다는 데 베팅하고 있다.
1월3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일부 미국 대형 헤지펀드들이 위안화를 공격하면서 중국 당국과 새로운 환율전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헤이먼캐피털의 경우 주식·원자재·채권 투자 대부분을 청산한 뒤 자산의 85%를 앞으로 3년간 위안화와 홍콩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수익을 내는 상품에 집중시켰다.
카일 배스 헤이먼 창립자는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위기 때보다 더 큰 규모의 위기가 닥칠 것"이라며 "앞으로 3년간 위안화 가치가 최대 40% 정도 추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억만장자 트레이더인 스탠리 드러컨밀러와 헤지펀드 거물인 데이비드 테퍼, 데이비드 아인혼의 그린라이트 캐피털도 위안화 약세 쪽으로 자산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있다.
당초 지난해 8월 인민은행의 기습적인 위안화 절하 이후 물밑에서 은밀하게 진행되던 환율전쟁은 소로스의 선전포고로 한층 노골화됐다. 소로스는 최근 다보스포럼에서 "중국 경제의 경착륙은 피할 수 없다"며 "아시아 통화에 대한 쇼트포지션(매도)을 구축해놓았다"고 밝혔다.
발끈한 중국 정부는 "환투기꾼들이 막대한 손실을 입을 것"이라며 십자포화를 날리고 있다. 위안화 가치가 더 떨어지면 자본유출이 가속화하고 금융시장 불안, 대외부채가 많은 기업의 파산 위험 증가 등으로 이어질 게 뻔하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는 자본규제와 외환보유액을 동원해 위안화 방어에 총력전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지난달에는 역외 투기세력의 최대 근거지인 홍콩을 급습했다. 투기세력들의 돈줄을 말리기 위해 유동성을 조이는 바람에 지난달 12일 홍콩 은행 간 하루짜리(오버나이트) 단기금리(Hibor·하이보)가 연 66.8%까지 폭등하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의 경고를 비웃는 헤지펀드들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이머징소버린그룹·드러컨밀러·스코긴자산운용·칼라일그룹 등 위안화 약세에 베팅해 떼돈을 번 투자가들이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로이터는 "몇몇 헤지펀드들은 위안화 가치가 조만간 최소 20%, 최대 50%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파생시장에서 위안화 가치가 달러당 (현재 6.5위안 수준에서) 8위안으로 떨어질 때 수익을 올리는 옵션 상품이 대거 등장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중국 당국이 경기부양과 수출촉진을 위해 결국 위안화 약세를 유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지난해에만 1조달러의 자금이 유출된 점을 감안하면 3조3,000억달러의 외환보유액도 통화방어의 안전판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코리엔테파트너스의 경우 1월에도 중국 외환보유액이 2,000억달러 감소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아울러 투기세력의 역외 자금줄을 끊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3개월짜리 위안화 대출에 대한 하이보는 연 4.87%까지 떨어지며 연초 수준으로 돌아갔다.
다만 대다수 헤지펀드들은 중국 정부와의 전면전을 꺼리는 상황이다. 자본규제, 통화가치 방어 등에 대한 중국 정부의 카드가 아직 많아 손실 위험이 크다는 것이다. 행동주의 투자가인 빌 애크먼의 경우 위안화 약세에 베팅했다가 중국 정부의 잦은 외환시장 개입 여파로 지난해 20% 이상 손실을 입기도 했다.
로이터는 "위안화 약세 전망이 많지만 올해 안에 10% 이상 떨어질 것으로 보는 곳은 적다"고 설명했다. 헤르메스투자운용의 게리 그린버그 신흥시장 수석은 "위안화가 20% 정도 고평가됐다고 보지만 앞으로 2년에 걸쳐 정상화될 것"이라며 "올해 위안화 환율이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최형욱특파원 choihuk@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