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저유가에 재정 구멍… 러 '민영화' 만지작

국유기업 7곳 추진

러시아가 유가 급락으로 구멍 난 나라 곳간을 채우기 위해 주요 국유기업 민영화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경제팀이 올해 민영화 계획을 논의하는 자리에 7개 국영기업 사장단이 참석했다. 해당 기업들은 항공사 아에로플로트, 다이아몬드 광산회사 알로사, 석유회사 로스네프트와 바시네프트, 러시아철도공사, VTB은행, 러시아 최대 조선사 소브콤플로트 등이다.

러시아 정부가 대형 국영기업 민영화를 검토하는 것은 유가 하락과 경기침체에 따른 재정압박을 견디기 어려워서다. 러시아 재정수입에서 원유 및 판매수익에 의존하는 비중은 지난해 43%였으며 국제유가가 30달러대로 떨어질 경우 올해 35% 이하로 낮아질 것이라고 스베르방크는 분석했다.

르네상스캐피털의 올레그 쿠즈민 이코노미스트는 "종전에는 경제 구조조정과 효율화가 민영화의 주된 동기였다"며 "하지만 지금 민영화가 의제로 떠오른 이유 중 하나는 자금조달 문제"라고 설명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11월 초 국제유가 평균인 배럴당 50달러를 근거로 올해 예산을 편성했으나 유가 추가 하락으로 최근 예산안 수정작업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러시아는 이미 10%의 세출삭감과 시퀘스터(예산 자동삭감)라는 두 가지 조치로 지출을 연간 1조루블(약 15조5,700억원) 줄였다.

한 소식통은 로이터통신에 "민영화 프로그램으로 5,000억~8,000억루블의 재정수입을 얻을 것"이라며 "이에 따라 추가 지출삭감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러시아 정부의 민영화 계획이 성공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선이 적지 않다. 과거에도 소규모 국영기업들의 지분매각이 추진됐지만 푸틴 대통령이 3기 집권을 시작한 지난 2012년부터 흐지부지됐기 때문이다. 1990년대 국유재산 매각 과정이 부패로 얼룩지면서 민영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팽배해진 탓이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국영기업) 지분이 헐값에 매각돼서는 안 된다"며 "반드시 시장가격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