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서울경제TV] 대구 수성구 평균 전셋값 3억633만원… 동두천·포천에선 두채값

아파트 평균 전셋값 서울>경기>대구순 높아

대구 수성구 아파트 평균 전셋값 3억633만원

수도권 일부 지역 아파트 두 채 매입도 가능

최근 5년간 지역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변동률 / 자료=부동산114최근 5년간 지역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변동률 / 자료=부동산114




대구 수성구의 아파트 전셋값으로 동두천·여주·포천 등 경기 일부지역에서는 아파트 두채 매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대구 수성구의 평균 아파트 전셋값은 3억633만원으로 지방 자치구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 3억원이면 수도권 웬만한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 보다 높은 수준이다. 경기도 평균 매매가격(3억839만원)과는 비슷한 수준이고 특히 여주 등 수도권 일부 지역의 평균 매매가격 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이기도 하다.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2억2,256만원 수준이다. 시도별 평균 전세가격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로 3억9,866만원을 기록했고, 다음으로 경기가 2억3,608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경기에 이어 대구 평균 전세가격이 2억1,684만원으로 지방 광역시·도 중에서 가장 높았고 수도권 소재 인천(1억8,366만원) 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대구 아파트 전셋값이 높은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대구 아파트 값은 매매·전세 모두 최근 5년간 큰 폭으로 올랐다. 매매가격은 65.92%, 전세가격은 91.04% 상승했다. 대구 혁신도시 개발, 신규아파트분양 공급 부족 등의 영향으로 청약시장이 활기를 띄며 매매시장으로 수요가 확산된 게 촉매제 역할을 했다. 전세가격 역시 신규 아파트 공급 부족 영향으로 오름폭이 컸다. 특히 대구 자치구중 5년간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수성구(96.71%)로 평균 아파트 전셋값이 2010년 말 1억5,056만원과 비교해 두 배 이상 높은 3억633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지방 광역시·도 자치구중에서 가장 높은 가격 수준이기도 하다. 수성구는 대구ㆍ경북지역의 명문고교로 꼽히는 경북고와 경신고 등이 있어 ‘맹모·맹부’들이 몰린다. 그래서 ‘지방 대치동’, ‘대구의 8학군’ 등으로 불리며 학군 수요가 꾸준한 지역이다.

대구 수성구 아파트의 평균 전셋값이 3억633만원으로 지방 광역시·도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 다른 자치구와 부산, 울산 등 일부 자치구도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2억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기 이천시, 양주시, 여주시와 인천 계양구, 동구 등은 호당 평균 매매가격이 2억원 밑으로 지방 광역시·도 일부 자치구 평균 전셋값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대구 수성구 평균 전셋값이면 경기도 여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아파트 두 채 매입이 가능할 정도다.

부동산114관계자는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공급과잉 여파, 대출 규제 강화 등을 앞두고 지난해 12월 들어서는 하락세로 돌아섰고, 전셋값 상승도 신규 아파트 공급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안정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최근 가격이 급등한 부산, 울산 등 다른 지방 도시들도 지역의 경기 여건과 주택 공급 여건에 따라 시장 분위기가 이전과 크게 달라질 수 있는 만큼 투자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정창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