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할말 했지만 결과 몰라" 中 우다웨이 빈손 귀국

리수용·김계관 등과 잇단 회담

北 강경 입장은 꺾지 못한 듯

방북일정 마치고 귀국한 中우다웨이
북핵 6자회담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방북 일정을 마치고 4일 베이징공항에 도착해 손을 흔들고 있다. /베이징 교도=연합뉴스

중국이 우다웨이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평양에 보내 북핵 문제 해결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유예를 위한 중재에 나섰지만 사실상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은 4일 우 대표가 사흘간의 방북 일정을 마치고 이날 귀국하면서 "해야 할 말은 했다"면서도 "결과가 어떻게 될지 지금은 알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우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은 북한에 장거리 미사일 발사 자제를 요구했지만 뚜렷한 답을 얻지는 못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 대표가 방북 기간 중 리수용 북한 외무상,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 북한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리용호 외무성 부상과 잇달아 회담을 했다면서 "양자 관계 및 현재의 조선반도(한반도) 상황을 놓고 회담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베이징의 한 외교 소식통은 "우 대표의 방북 시기 전후 북한 정황으로 볼 때 중국은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고집하는 북한의 강경 입장을 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측은 지난달 6일 제4차 핵실험 때와 마찬가지로 미사일 발사 계획을 국제기구에 통보하기 전까지 중국 측에 알리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우 대표가 지난 2일 평양 도착 후 현지 주재 자국 공관을 통해 북측의 국제기구 통보 사실을 보고받고 당혹스러워했다는 얘기도 전해진다.

우 대표는 방북에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등 향후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북측과 협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가능성이 큰데다 한국·미국·일본을 중심으로는 강력하고 포괄적인 제재가 필요하며 대화를 위한 대화를 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강해 우 대표 방북 이후에도 새로운 모멘텀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 대표의 방북 결과에 대해 한중 간에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며 "장거리 미사일 발사 철회를 촉구하는 분명하고 단합된 메시지를 보내는 등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동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희영기자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co.kr


관련기사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