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국제수지상 건설수입은 134억9,200만달러(약 16조1,000억원)로 전년보다 30.3% 감소했다. 지난해 건설수입은 1992년(-39.9%) 이후 2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국제수지에서 건설수입은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에서 수주한 건설공사의 진척 정도(건설기성)에 따라 받은 돈을 뜻한다. 건설수입은 고유가 시대였던 2013년 203억7,500만달러로 정점을 찍고 2014년(193억5,800만달러), 2015년 등 2년 연속 줄었다. 건설수입이 2년 연속 감소한 것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1999년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해외건설 수입이 급감한 데는 저유가의 영향이 가장 컸다. 2013년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평균 105.25달러였던 국제유가가 2014년 96.56달러, 지난해 50.69달러로 곤두박질 쳤다. 한국 건설사들의 해외수주 중 절반이 몰려 있는 중동 발주처들은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와 플랜트 공사를 연기·취소하거나 대금 지급을 미뤘다.
올해 해외건설 수입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단 지난해 수주액이 461억달러로 전년의 70% 수준에 그쳤다. 중동지역 수주가 165달러로 아시아지역(197달러)보다 낮다. 게다가 올해 들어 국제유가는 30달러 아래로 떨어지며 하락세가 더 심화하는 모습이다. 정부는 올해 해외건설과 플랜트분야의 고부가가치화에 역점을 두고 해외건설 수주 감소에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나 업계에선 최근 해외건설 상황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차 침체기(2009∼2010년)’에 이은 ‘2차 침체기’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