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개성공단 가동 중단] "운영 보장한다더니…" 입주기업 망연자실

생존위한 실질적 대책 요구

일부선 "아예 사업 접겠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결정을 내리자 망연자실한 표정을 지었다. 입주기업들은 특히 지난 2013년 북한의 제3차 핵실험으로 개성공단이 폐쇄된 뒤 재가동될 때 남북은 어떤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개성공단의 안정적 운영을 보장하겠다고 한 것을 뒤집는 처사라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정기섭 개성공단협의회 회장은 10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2013년 개성공단을 재가동할 때도 핵실험이 있었고 장거리 미사일 발사도 있었지만 정부는 북한과의 합의를 통해 그 어떠한 정세에도 개성공단의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한다고 했었다"며 "핵실험을 막지 못한 정부가 개성공단에 제재를 가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화풀이이고 입주기업 전체의 흥망과 거래기업·근로자들에게 치명적 타격을 주는 처사"라고 말했다.

이미 입주기업들은 정부가 개성공단 체류인원 축소 결정을 내린 데 따라 30~40%가량의 생산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이다. 개성공단 가동이 전면 중단되면 입주기업들의 피해는 막심할 것으로 보인다. 입주기업들은 해외 원청 바이어들에 납품이 밀리게 되고 수주도 끊기게 되는 등 즉각적인 매출 피해와 장기적인 신뢰도 하락이 불가피하다. 원·부자재를 포함한 생산제품의 반출도 남북 간 협상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사실상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3년 폐쇄 당시에도 입주기업들은 수십억원의 피해를 봤고 경협보험을 통해 받은 지원금도 1,000만여원에 불과해 고사 위기까지 간 기업도 많았다. 실제로 2013년 폐쇄 당시 통일부 발표에 따르면 234개 입주기업은 개성공단 가동 중단으로 1조566억원의 피해를 입었다. 증빙자료를 통해 객관적으로 확인된 피해 금액만도 7,067억원에 달했다.

상황이 이렇자 사업을 아예 접겠다는 업체도 나오고 있다. 개성공단 입주 7년차의 한 의류생산 업체 대표는 "2013년에 5개월가량 개성공단이 폐쇄됐을 때도 사실상 회사가 문을 닫을 정도로 사정이 어려워졌고 자본잠식 상태가 되니 수출입은행은 경협보험 가입도 거부했다"며 "이번에 개성공단이 전면 중단되면 사업을 그만하려고 하는데 개성공단의 생산 비중이 워낙 커 다른 곳에서 새롭게 사업을 시작할 힘도 없다"고 토로했다.

입주업체들은 기업이 생존할 수 있는 실질적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 개성공단 입주업체 대표는 "지금 상황은 핵 문제가 해결돼야 개성공단 가동이 재개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잠정적 중단이라고 볼 수 없고 따라서 정부는 기업들이 당장 생존할 수 있도록 실천 가능한 대책을 시행해야 한다"며 "당장 해외 원청 바이어들과의 신뢰를 깨지 않기 위해 개성에 있는 원·부자재를 반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수입이 끊기는 데 따른 금융 문제도 해결할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장기적으로는 대체생산 기지를 조성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개성공단 관련 근로자 2,000~3,000명의 고용유지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