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개성공단 자산동결] 입경마감 40분전 추방통보 한때 억류사태 재연 우려도

긴박했던 하루

북한이 전격적으로 개성공단 폐쇄를 선포한 11일, 남측에는 최악의 억류 사태가 재연될 가능성에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다. 당초 우리 정부는 개성공단 내 우리 측 체류인원 및 물자를 북측과의 협의를 통해 단계적으로 철수하려 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이날 개성공단에는 248명이 남을 예정이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도 이날 오후까지만 해도 비교적 여유 있게 완성품과 원·부자재 등을 차량에 싣고 남측으로 내려올 수 있었다.

그러나 북측이 개성공단에서 인원이 나오는 입경 마감시한(오후5시30분)에 임박한 오후4시50분께 전격적으로 공단 폐쇄 및 우리 측 인원 추방, 자산동결 등의 강경 대응 방침을 우리 측에 통보해오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이날 중 우리 측 인원의 철수가 마무리되지 못하고 지난 2009년과 2013년처럼 북한이 우리 측 인원을 억류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배어 나왔다. 특히 완제품 등을 싣고 입경하려던 우리 기업 차량들이 북측의 갑작스러운 발표에 다시 물건을 내려놓게 되자 긴장감은 극대화됐다.

우리 정부는 '신변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원칙 아래 밤늦은 시간까지 인원 철수작업을 진행했다.

우여곡절 끝에 우리 측 개성공단 체류인원들이 오후9시40분부터 차에 나눠타고 남북출입사무소를 통해 속속 귀환하고 철수작업이 오후10시를 전후해 완료되자 안도감이 흘러나왔다. 통일부도 같은 시각 "우리 측 체류인원 280명 전원이 군사분계선(MDL)을 통과했다"고 공식 확인했다. 입경 마감시간을 넘겨 철수가 완료된 이유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현지에 휴대폰 등 연락수단이 없어서 북한 당국이 우리 측에 통보해온 내용을 체류인원 개개인에게 전달하고 가져갈 수 있는 개인 짐 등을 챙기는 데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날 북한 측의 발표 이후 관계부처 주요 인사들의 12일 예정 일정을 전면 취소했다. 향후 개성공단 입주기업 지원 정부합동대책반 등 관련 조직들을 중심으로 피해보상대책 등 후속조치 마련에 집중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