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MWC]전자통신거인들 ‘포스트 스마트폰’시대 징검다리 놓는다

지난해 전자통신업계는 성장의 한계를 절감했다. 스마트폰 수요 둔화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국내 전자통신업계는 물론이고 글로벌 업체들은 스마트폰 전성시대 이후로 넘어 갈 징검다리를 놓는데 고심하고 있다.

22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나흘간 일정으로 개막하는 이동통신기기 국제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6’를 통해 지구촌의 전자통신업계 거인들이 선보일 기술들에는 이 같은 고민이 녹아 있다.

우선 SK텔레콤은 자사의 ‘3차원(3D) 홀로그램 통신’ 기술을 시연할 계획이다. 이는 사물의 모습을 상하좌우 어디서든 360도로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영상 등을 극초고속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다. SK텔레콤은 1인 방송 등을 초고화질(UHD)로 생중계할 수 있는 1인 미디어 플랫폼을 이번 MWC를 통해 데뷔시킨다. 이 기술은 연내 개인방송 서비스사업이나 인터넷TV(IPTV) 등과 연계해 상용화될 예정이다. KT는 멀리 떨어진 현장을 눈앞에 실시간으로 옮겨 놓은 것과 같은 3D영상 텔레포트 기술을 선보인다. 텔레포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촬영한 5~6대의 카메라 영상을 상하좌우로 바느질하듯 하나의 가상현실(VR) 입체영상으로 엮어 극초고속 통신망을 통해 실황 중계할 수 있는 기술이다. KT는 이를 기반으로 오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현장감 있게 중계하는 등의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전자업체들은 잇따라 온라인과 연결된 자율주행차인 커넥티드카 관련 기술력을 뽐낸다. 삼성전자는 이번 행사 중 ‘삼성 커넥트 오토’라는 명칭의 커넥티드카 솔루션을 내놓는다. 솔루션은 자동차에 내장된 통신 및 진단장치를 통해 주행 차량의 위치를 파악해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려주고, 사고시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긴급 매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고안됐다. 특히 삼성전자가 독자 개발해 미국 국방성으로부터 보안인증까지 받은 첨단 보안프로그램이 이 솔루션에 탑재돼 일부 해외 커넥티드카들이 당했던 해킹 사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LG전자 역시 올해 전시회에서 커넥티드카 등을 스마트기기로 원격 제어하는 첨단기술을 시연할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통신장비 업체 중에선 스웨덴 에릭슨의 전시내용이 이채롭다. 에릭슨은 MWC기간 중 ‘텔레햅틱 컨트롤’, ‘커넥티드 태양전지 자동차’와 같은 색다른 기술을 줄줄이 글로벌 시장에 데뷔시킨다. 텔레햅틱 컨트롤은 사물의 원격 조종할 때 그 움직임을 조종자가 시각·청각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 느낄 수 있도록 피드백을 받게 하는 기술이다. 에릭슨은 텔레햅틱 컨트롤을 통해 무선으로 헬리콥터를 날리는 기술을 시연할 예정인데 헬리콥터의 비행 움직임을 조종자가 자신의 감각을 통해 체감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하고 몰입감 있는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바르셀로나=민병권기자 newsroom@sed.co.kr

◇올해 MWC 시연되는 기업별 주요 신기술

삼성전자 LG전자 SKT KT 소니 에릭슨 노키아
삼성커넥트오토
360도VR, 핀테크
커넥티드카 기술,
VR, 증강현실(AR)
5G통신 , IoT, 재난망
1인 미디어플랫폼
5G통신 , IoT,
VR텔레포트
스마트아이글라스,
플레이스테이션VR
햅틱 컨트롤,클라우드,
커넥티드솔라카
커넥티드로봇, VR,
증강현실 생중계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