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금융위기 이후 중국 부채 연평균 증가율 20%… 기업부채 “위험”

현대硏, ‘중국의 부채 구조와 시사점’ 보고서

2018년부터 지방정부 부채 상환 부담 늘어

금융시장·실물경제 안전판 마련해야





금융위기 이후 연평균 20%에 가깝게 증가한 기업부채가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는 진단이 나왔다. 특히 이 같은 부채 리스크가 경기 둔화로 이어질 경우 우리나라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로 전이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4일 현대경제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국의 부채구조와 시사점’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는 2014년 말 기준 중국의 전체 부채가 154조8,000억위안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243.4%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이는 2009년(63조위안)과 비교하면 두 배가 넘게 늘어난 수준으로, 연평균 증가율은 19.7%에 달한다.


특히 이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기업부채(103조2,000억위안)였다. 2009~2014년 연평균 증가율은 19.9%였고, GDP 대비 비중은 162.2%에 달했다. 정부부채는 570%, 가계부채는 24.2%로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았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대내외 금리 차 축소로 최근에도 중국 기업의 빚이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기업의 해외 차입 규모는 2014년 5조위안에서 2015년 9조위안으로 급증했다. 천용찬 현대경제연구원 중국경제팀 선임연구원은 “중국 금융당국의 기업공개(IPO) 중단 등으로 기업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생기면서 올해 기업구조조정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부부채는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지방정부의 경우 구조적 리스크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천 선임연구원은 “지방 정부의 고금리 은행대출과 중앙정부의 지방정부융자플랫폼(LGFV)을 통한 자금조달 구조가 중국 경제의 구조적 리스크”라고 지적했다. 2018년부터 지방정부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연구원은 이 같은 부채 리스크가 중국의 경기 둔화를 불러오고, 이게 다시 우리나라 금융시장 및 실물경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천 선임연구원은 “중국 경기 둔화가 수출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한중 FTA를 적극 활용하는 등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며 “또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돌발 리스크에 대비해 금융시장 안전판 강화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