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슈퍼박테리아 감염 막는 항균 섬유 개발

울산과학기술원(UNIST) 로버트 미첼(Robert J. Mitchell) 교수, 이주(염색 업체) 이창석 대표이사,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진형 박사가 참여한 산학연 공동연구팀은 슈퍼박테리아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항균 섬유 개발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바이오라세인’을 염색 처리한 3중 항균 필터 구조의 의료용 마스크.‘바이오라세인’을 염색 처리한 3중 항균 필터 구조의 의료용 마스크.


UNIST에 따르면 이 연구팀이 개발한 항균 섬유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 색소인 ‘바이오라세인(Violacein)’을 이용해 부작용의 우려가 없다. ‘바이오라세인’은 보랏빛의 색소로 항균, 항바이러스, 항암 효과 등이 있다.

미첼 교수는 “‘바이오라세인’을 이용한 항균 섬유 개발의 첫 사례”이며 “급증하는 슈퍼박테리아의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기술로 생산된 ‘바이오라세인’ 추출물을 면직물에 염색했다. 염색된 항균섬유는 슈퍼박테리아의 종류인 황색포도상구균 및 다제내성 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했다.

관련기사



공동 연구팀은 이 항균 섬유를 슈퍼박테리아 항균 의료용 마스크로 제작했다. 이 마스크는 ‘바이오라세인’을 염색 처리한 3중 항균 필터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이 필터는 한국공업표준협회의 항균 테스트 결과 99.9%의 항균성을 보였다. 특히 기존 의료용 마스크와 달리 다제내성 포도상구균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공동 연구팀은 마스크 시제품 1,000매를 24일 동강병원에 기증했다. 기증식은 이날 오후 2시 동강 병원에서 개최되며 로버트 미첼 UNIST 교수, 이창석 이주 대표이사, 이진형 세라믹기술원 박사, 유봉옥 동강병원장, 박원희 동강병원 상임이사 등이 참석했다.

미첼 교수는 “이번 마스크 기증이 지역의 공공보건사업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바이오라세인이 염색된 후에도 항균 효과를 가지는 과정을 규명하고, 이 항균 섬유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더욱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UNIST, 이주, 한국세라믹기술원 공동연구팀은 2014년부터 3년간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EUREKA)을 통해 총 6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고 있다.
/울산=장지승기자 jjs@sed.co.kr

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