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세계 통화전쟁에 원화 실질가치 1년새 1% 하락에 그쳐

지난 2014년말부터 지난달까지 원·달러 환율이 10% 오른 반면 원화의 전체 교역상대국 통화 대비 실질가치는 1% 절하되는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각국이 수출 개선을 위해 경쟁적으로 통화가치를 절하하는 ‘통화전쟁’에 나서면서 원화의 실질가치는 거의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이다.

24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올해 1월 한국의 실질실효환율지수는 108.22로 2014년 말의 109.23에 비해 1% 하락하는데 그쳤다. 실질실효환율지수가 하락하면 해당국 통화의 교역상대국 통화 대비 실질가치가 절하됐다는 의미다.


실질실효환율은 물가변동까지 반영된 교역상대국에 대한 각국 돈의 상대가치로 각국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을 파악하는 지표다.

관련기사



같은 기간에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099.2원에서 1,208.4원으로 10% 상승했다. 달러 대비 원화가치가 10% 하락했지만 원화의 실질가치 절하폭은 10분의 1에 그친 셈이다.

BIS가 실질실효환율지수를 집계하는 전 세계 61개 주요국가 중 이 기간 실질 통화가치가 절하된 국가는 전체의 4분의 3에 달하는 45개국에 달했다.

실질 통화가치 절하폭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19.8%로 가장 컸고, 브라질(-19.6%), 콜롬비아(-17.8%), 아르헨티나(-15.4%), 캐나다(-14.5%), 멕시코(-13.8%), 말레이시아(-13.4%), 러시아(-9.9%) 등의 순이다.

반면 같은 기간에 실질 통화가치가 가장 많이 절상된 국가는 베네수엘라(171.7%)와 미국(11.6%), 달러 페그제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11.6%), 일본(8.6%) 순이었다. 인도(5.4%)와 중국(3.4%)도 실질통화가치가 절상됐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