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잠재성장률 갉아먹는 만혼 '고령 산모' 비중 역대 최대

산모 4명중 1명은 '늦깎이 엄마'

출생아 수는 3년만에 소폭 늘어



대한민국 경제의 최대 리스크인 저출산 문제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출생아 수가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고 합계 출산율도 1.24명으로 소폭 높아졌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다 만혼(晩婚) 현상이 고착화하면서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24일 통계청의 '2015년 출생·사망통계'에 따르면 고령 산모 비중은 1년 전보다 2.2%포인트 증가한 23.8%로 집계됐다. 전체 산모 가운데 4명 중 1명이 35세 이상 '늦깎이 엄마라'는 설명이다. 10년 전인 지난 2005년 10.6%에 불과했던 고령 산모 비중은 2013년 20.2%로 껑충 뛰었고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고령 산모 비중이 늘어나는 이유는 청년 일자리 구득난에 따라 사회 진출연령이 높아진데다 천정부지로 상승하는 전셋값, 결혼비용 마련 부담 등 여러 요인이 복합상승 작용을 일으킨 결과다. 구직에서 결혼·출산으로 이어지는 시기가 늦춰진 탓에 만혼 현상은 점점 우리 주변에 일상으로 다가오고 있다. 2014년 기준 초혼 연령은 남자의 경우 32.4세, 여자는 29.8세이고 지난해 기준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은 32.23세로 1년 전보다 0.19세 상승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43만8,700명으로 1년 전보다 3,300명(0.8%) 증가했다. 이는 △2013년 4만8,100명 △2014년 1,000명으로 2년 연속 감소하다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8.6명으로 1년 전과 같았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 출산율은 1.24명으로 집계돼 1년 전보다 0.03명(2.9%) 증가했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OECD의 초저출산 기준선인 1.30명을 넘어서지 못하는 수치다. 우리나라는 2001년 합계 출산율이 1.297명으로 떨어져 '초저출산국가'로 분류된 후 15년째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1983년에 합계 출산율이 2.1명 이하로 내려가는 저출산이 시작됐고 그때 태어난 연령대의 여성들이 아이를 낳게 되면서 출생아 자체가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co.kr


관련기사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