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한국 관광 경쟁력을 키워라] 관광품질 높여 외국인 끌어들여야

지자체, 여행사에 인센티브는 사실상 '뒷돈'

중국인 관광객의 초저가 덤핑 단체관광상품(패키지)으로 인한 관광시장 교란이 하루도 거르지 않고 논란이 되고 있지만 해결은 여전히 어렵다. 문제는 관광시장의 특성에 있다. 중국여행사는 중국인 소비자들에게 패키지를 아주 싸게 판다. 예를 들면 한국 3박4일이 20만~30만원이다. 항공료와 호텔 값만 해도 100만원을 훌쩍 넘는데 이 여행사는 손해를 보는 것일까. 여행사는 단체관광객을 면세점 등 매장에 데려가 물건을 사게 하고 그 매장에서 수수료를 받는 방식으로 손실을 보충한다.

그러면 한국 관광업계는 문제가 없는 걸까. 지난 12일 문체부가 진행한 '글로컬 관광상품' 설명회에서 논란이 있었다. 정부가 선정·지원하는 글로컬 관광상품 자격요건에 대해 일부 지자체 관계자가 "여행사에 보조금을 지급하면, 즉 그런 예산을 지자체에서 부담하면 선정에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가"라고 질문한 것이 발단이었다. 문체부가 발끈하며 이를 부정했다. '(예산 100억원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의 목적은 최고의 관광상품 육성이지 관광객 몰이가 아니다'라는 의미였다.

현장에서 패키지에 인센티브를 주는 것은 이미 일반화돼 있다. 국내 지자체 중에서 B시는 외국인 숙박관광 1박에 2만원, 최대 3박까지 여행사에 지원하겠다고 신청업체를 받고 있으며 C군도 10명 이상 숙박 외국인을 유치하는 여행사에 1인당 5,000~1만5,000원을 지원한다. 지자체의 인센티브나 민간업체의 가이드 수수료나 같은 구조다. 관광시장의 윤활유이지만 사실상 '뒷돈'이다.

관광업계에서는 수요가 있는 이상 저가패키지를 법적 잣대로 근절하기는 어렵다고 한다. 시장이 자율적인 정화노력을 할 수밖에 없다. 가격이 아닌 품질로 관광상품의 승부를 보겠다는 생각 말이다. 문제가 특히 심한 유커와 관련해서 문화체육관광부는 '상식 이하의' 초저가 상품을 파는 중국전담여행사는 곧바로 자격을 박탈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