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2금융

저축銀과 제휴·자동분산투자 도입… P2P 대출업체 생존전략 각양각색

팝펀딩, 현대저축銀과 연계영업… 테라펀딩은 동부저축과 손잡아

송금 수수료 절약 이점 영업 늘듯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개인간(P2P) 대출 업체들이 생존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펴고 있다. 일부 P2P 대출 업체들은 저축은행이나 은행 등과 손잡고 연계영업을 추진하는 한편 자동분산투자 등 차별화된 서비스도 속속 선보이고 있다.

24일 금융계에 따르면 부동산 P2P 대출 업체 테라펀딩이 동부저축은행과 연계 영업을 추진하고 있다. 두 업체 모두 부동산 담보대출에 특화돼 있다는 공통점이 있어 연계 영업 시너지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동부저축은행은 햇살론 등 일부 정책 상품을 제외하면 자산의 대부분을 부동산 담보대출로 운용하고 있으며 테라펀딩은 2014년 12월 국내 최초 부동산 P2P 금융 플랫폼으로 출범한 곳이다. 부동산 투자 프로젝트와 개인 소액 투자자들을 연결해주는 테라펀딩의 현재 누적 투자액은 약 117억3,000만원으로 업계 1위 규모인 8퍼센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금액이다. 연 평균 수익률은 13% 수준이다.

앞서 23일 현대저축은행도 P2P 대출 업체 팝펀딩과 전략적 업무제휴를 맺었다. 현대저축은행은 이번 제휴를 통해 P2P대출 투자자로 직접 참여하는 동시에 양사의 노하우를 접목한 다양한 P2P 금융상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 다른 P2P 대출 업체 피플펀드도 전북은행과 제휴 영업을 준비하고 있다.

은행이나 저축은행 등 기존 금융사와 협업을 할 경우 대출자나 투자자로부터 신뢰를 얻기 쉽고 송금 수수료나 가상계좌 개설 수수료 등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만큼 앞으로 P2P 대출 업체와 금융사 간 연계 영업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단순했던 P2P 투자 방식도 점차 고도화되고 있다. 8퍼센트는 23일부터 '자동분산투자' 서비스를 시작했다. 수백 건의 채권에 균등한 금액을 한 번에 투자, 수익률과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서비스다. 기존에 P2P 업체가 대출 채권을 공시하면 투자자들이 정해진 시간에 맞춰 일일이 대출 신청을 해야 했던 불편이 사라진 것이다. 최소 투자금액은 5만원이며 투자기간은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6~36개월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상환되는 원리금을 자동으로 재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호성 8퍼센트 개발담당 이사는 "지금은 만기와 투자 금액 두 가지 옵션만 있지만 앞으로 선택지를 늘려 고도화된 맞춤형 투자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