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코, 불량 철강재와 전쟁

불량 자재 유통에 사고 끊이지 않아 전담반 운영, 품질검사 위조 봉쇄

관계 법령 등 제도 개선에도 나서

지난 6일 대만 남부 가오슝 시의 대지진으로 무너진 웨이관진룽 빌딩 골조에서는 규격에 못 미치는 얇은 철근이 대거 발견됐다.

한국 역시 2014년 12월 경북 경주 마우나리조트 사고나 지난해 2월 사당종합체육관, 8월 정선아리랑 전시문화센터 등 붕괴사고가 발생한 건물마다 빠지지 않고 불량 철강재가 등장했다.

끊이지 않는 사고에도 돈에 눈이 멀어 싼값의 불량 자재를 쓰는 일부 건축업자나 국산으로 속여 파는 유통업자들 때문에 불량 철강재 유통이 좀처럼 근절되지 않자 철강업계 맏형 포스코가 파수꾼을 자처하고 나섰다.

24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7~11월 국내 공사현장 162곳을 불시 점검한 결과 샌드위치패널과 철근 등 불량자재를 쓰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이 43곳에 달했다. 현행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라 일정규모 이상의 공사에는 'KS제품' 수준의 자재를 써야 하지만 상당수의 건설현장에서 지켜지지 않는 것이다.

포스코는 우선 한국철강협회와 함께 부적합 강재 유통 근절과 건전한 철강 생태계 조성을 관계 법령 등 제도 개선과 시장 감시에 나선다.

제도 부문에서는 지난해 △상주 감리 규모 5,000㎡→1,000㎡ 이상으로 확대 △컬러강판 품질 기준 강화 △KS 미인증 건설용 강재 품질시험 강화 등의 성과를 낸 데 이어 올해는 △건설 자재 원산지 정보 공개 강화 △국가·지자체 발주 시설물 국산자재 우선 사용 △건설자재 품질표시 기준 강화 등의 입법활동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포스코는 또 지난해 8월 품질검사증명서(MTC) 위·변조를 막기 위해 전담반을 가동하고 신고센터를 운영하는 등 시장 모니터링도 강화하고 있다. 철강협회 '부적합 철강재 신고센터'를 통해 불량 철강재의 유통 실태와 원산지 표시 의무 준수 등도 점검한다.



관련기사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