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정책금융 역할 강조한 '韓·이란 경제협력 컨퍼런스'

서방의 경제제재가 해제된 후 새 황금시장으로 떠오른 이란에 대한 시장 쟁탈전이 뜨겁다.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앞다퉈 경제지원 및 투자를 약속하는 등 치열한 선점경쟁을 벌이고 있지만 정작 우리는 글로벌 경쟁구도에서 한발 뒤처져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던 것도 사실이다.

이런 가운데 서울경제신문이 24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 현지에서 개최한 '한·이란 경협 컨퍼런스'는 이란이라는 거대시장의 현황을 짚어보고 효율적인 진출전략을 마련하는 소중한 기회였다. 참석자들은 빗장 풀린 이란이 한국 경제에 큰 기회이자 동시에 위기라는 데 공감하면서 치밀한 진출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인구 8,000만명에 원유 매장량 4위의 자원대국에서 쏟아져 나올 액화천연가스(LNG) 플랜트, 사회간접자본(SOC) 등 대형 국책사업은 물론 자동차·가전 같은 내수시장을 집중 공략해 성장정체의 돌파구를 열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인들은 이란 시장을 선점하려면 무엇보다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열악한 정책금융 역량을 최대한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규모 플랜트 수주를 위한 맞춤형 금융지원을 확대하고 민간과 정부가 힘을 합쳐 '민관 드림팀'을 만들어야 한다는 구체적인 대안도 제시했다. 개별 기업으로서는 벅찬 대형사업에서 자금조달이나 대금회수를 원활하게 해 현지 진출을 촉진해야 한다는 얘기다. 일본 정부가 일본무역보험(NEXI)이나 국제협력은행(JBIC)을 통해 100억달러를 투입하는 지원 시스템을 가동한 것도 우리로서는 보고 배울 일이다. 제조업체들은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이나 부품 현지 조달을 늘리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때마침 정부도 다음달 말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대표로 경제사절단을 파견한다는 소식이다. 우리로서는 이란을 전략적 거점으로 삼아 '제2의 중동 특수'를 이루기 위한 모두의 노력이 절실한 때다. 민간 부문이 시장을 개척하고 정부와 국책기관에서 제대로 금융기능을 뒷받침해준다면 이란 특수를 단비로 삼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