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창조 경제 이끄는 창의 화학] 햇빛으로 가동되는 무공해 화학공장




화학은 무수한 문명의 이기들을 탄생시킨 인큐베이터다. 지금 이 순간에도 모든 사람들이 화학의 혜택을 누리며 살아가고 있다. 모든 산업과 기술의 최밑단에 화학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창의성과 융합, 통섭이 중시되는 21세기 창조경제 시대에서 이런 화학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창의와 화학, 그 융합이 가져다줄 우리의 미래상을 살짝 들여다보자.

태양광은 가장 대표적 청정에너지로 인류 전체 가 1년간 사용해도 남을 막대한 에너지를 매 시간마다 지표면에 쏟아 붓고 있다. 세계 각국이 태양광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천문학적 연구자금을 투자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태양전지에 집중돼 있는 기존 태양광 연구의 패러다임 변혁을 일으킬 혁신적 프로젝 트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공정연구본부 백진욱 박사팀. 연구팀이 현재 주력하고 있는 분야는 바로 인공광합성 원리에 기반한 ‘광-바이오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햇빛으로 가동되는 무공해 화학제품 공장이다. 크게 그래핀 계열 광촉매를 활용해 태양광에너지를 전환시켜주는 ‘광에너지 전환부’와 ‘전자전달 시스템’, 그리고 산화 환원 효소를 이용해 화학제품을 생성하는 ‘효소 반응부’로 구성돼 있는데 원료물질과 그에 맞는 효소만 공급 하면 태양광 외에 어떤 에너지의 투입 없이 화학제품이 생산된다.

관련기사



백 박사는 “아미노산과 플라스틱 원료 등 다양한 정밀화 학제품과 의약품 중간체의 생산이 가능하다”며 “별도의 조치 없이 원료물질과 효소만 교체해주면 곧바로 다른 물질이 생산되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화학제품을 주문 생산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단순한 이론이나 개념이 아 니다. 이미 연구팀은 지난 2012년 α케토글루타르산과 이산화탄소를 이 용해 각각 아미노산의 일종인 L-글 루타민, 액체연료전지의 연료인 포름 산의 제조에 성공했다. 또한 광학이 성질체 화합물질 중 유용한 것만을 선택적으로 합성 제조하는 원천기술 을 확보, 2014년 세계 최초로 지구온 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로부터 메탄올을 불순물 없이 생산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백 박사는 “광학이성질체의 특성상 동일한 화학구조식을 가졌음에도 물성이 전혀 다를 수 있다”며 “광바이오 시스템을 통해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는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광-바이오 시스템 상용화의 핵심은 고효율 가시광 촉매의 개발과 효소 반응에 필수적인 보조인자의 재생이다. 실제로 이 산화티타늄(TiO2) 등 기존 광촉매는 광반응 시 자외선 영역만 이용, 태양 광에너지 활용도가 4% 미만에 불과 하다. 때문에 햇빛의 46%를 차지하는 가시광선을 이용할 가시광 촉매 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나노기술·광 화학기술 등을 적용해 현재까지 50여 종의 신규 가시광 촉매를 개발해냈으며 고가의 산화 환원 효소용 보조인 자를 반응기 내에서 즉시 재생시키는 데도 성공해 큰 걸림돌이었던 비용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열었다.

백 박사는 “아직 효율성이나 상용 성을 말할 단계는 아니지만 개념에 머물렀던 광-바이오 인공광합성 시스템을 실제화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기술고도화와 상용화 를 위해 국가 프로젝트와의 연계 등 많은 관심과 지원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밝혔다.

파퓰러사이언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