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기대수명에서 건강수명을 뺀 잔여수명 동안 노후질환으로 보내는 유병기간은 17년(남성 14.1년, 여성 19.6년)으로 전망돼 향후 노인 삶의 질이 악화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이 같은 결과는 경기연구원이 지난해 9월10일~25일간, 경기도민 55세 이상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발간한 ‘경기도 고령친화형 마을만들기 기초연구’ 연구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설문에 따르면 노인문제에 대한 대비책으로 고령(노인)친화마을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4.4%가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20여 년간 노인인구가 3배 정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노후장소성’을 감안하는 노인친화마을을 조성하는 대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노후장소성(Aging in Place)은 노인이 살고 있는 장소나 마을에서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하는 것을 말한다.
조사에서 노후생활을 보낼 장소로 노인 70.6%가 현재 거주주택, 실버타운 22.0%, 요양원 5.4%로 응답했으며, 노후장소와 연계하는 고령(노인)친화마을에 대해 응답자의 84.4%가 필요하다고 답해 ‘고령친화마을 만들기’를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노인 복지 및 편의시설에 대한 조사에서 만족도는 종교시설(9.4),관공서(8.8),운동시설(8.7),공원(8.6),경로당·노인복지관(8.5),여가(8.2),판매시설·통행시설(8.0),의료시설(7.9)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74.8%는 대형마트, 소매점 등에서 주중에 노인에게 할인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재 거주하는 주택의 일부 방 등을 다른 노인에게 공유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5.4%만이 긍정적인 답변을 했고, 주택공유 시 세입자로 거주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8.4%로 나타나 수입 대비 의료비나 주거비에 대한 지출이 부담되는 일부 노인에게만 주택 공유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연구원은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노후생활과 장소성 연계강화, 고령친화마을 만들기 추진, 향후 유관 부서간 협업을 통해 실행계획 수립, 노후를 위한 보행환경 등 근린시설 개선과 정비 등을 도입할 계획이다.
황금회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노인인구 급증에 대비해 노인친화마을을 만들고, 복지·생활시설 등을 대상으로 도시계획, 보건복지 유관부서와 협업해 고령친화마을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고령친화를 위해 경기도 고령친화점검단(안)을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수원=장현일기자 hichang@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