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사상 최장기 수출 감소… 이젠 외형보다 내실 갖춰야

수출이 침체의 늪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월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2%나 줄어들어 역대 최장기간인 14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그나마 한 가닥 희망을 보여준 것은 1월의 18.5%에 비해 수출 감소폭이 다소 줄어들고 수출물량이 11.2%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점이다. 나 홀로 성장세를 보이는 미국으로의 수출이 7개월 만에 증가했고 베트남 시장에서도 비교적 선전했다고 한다. 대중 수출 부진에 따른 대체시장 발굴 노력이 조금씩 성과를 내는 것이다. 하지만 휴대폰 등을 제외하고 반도체나 자동차·선박 등 주력품목은 여전히 두자릿수 감소세를 면치 못해 경쟁이 치열한 분야에 집중된 수출전략의 한계를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정부도 인정한 것처럼 수출 시장 전망은 어둡기만 하다. 중국과 일본 등 경쟁국들은 자국 수출을 늘리기 위해 경쟁적으로 통화가치를 떨어뜨리고 있으며 원·달러 환율이 수출 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단언하기 이른 분위기다. 이럴 때일수록 외형성장보다 체질개선과 혁신을 통해 튼튼한 내실을 갖추려는 노력에 집중해야 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화장품 등 유망품목의 수출 증가세가 가파른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수출경쟁이 덜한 분야와 첨단 고부가가치 품목의 발굴을 서두르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아세안 등 새로운 수출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해야 한다는 얘기다.

한국은행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제조업체의 70%는 연구개발(R&D) 투자 및 신제품 출시, 신산업 개척 등으로 공격적인 수출시장 개척에 나서겠다고 응답했다. 척박한 여건에 굴하지 않고 수출전사로 뛰겠다는 각오가 돋보인다. 문제는 정부와 정치권이 이런 기업들의 노력을 뒷받침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정부는 올해 수출을 2.1% 늘리겠다면서도 중국 경제와 국제유가만 쳐다보고 있을 뿐이다. 수출 혹한기일수록 부가가치를 높이고 신성장산업 위주로 구조조정을 서두르며 정보기술(IT)·서비스와 결합한 혁신을 통해 새로운 수출 유망산업을 키우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