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호황의 미술街 몸값 올려 리세일

올 첫 메이저경매 출품작에 김환기作 '창공을 날으는 새'

추정가 2배로 5년만에 등장… 9년만에 나온 천경자 '정원'

경매 최고가 기록 경신 기대

김환기 창공을 날으는 새

국내 양대 미술품 경매회사인 서울옥션과 K옥션이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낙찰총액을 기록한 가운데 이들의 올해 첫 메이저 경매에 굵직한 '리세일(Resale)' 작품들이 몸값을 높여 출품돼 미술계의 '호황'을 예고해주고 있다.

'리세일'이란 한 번 낙찰된 작품이 다시 경매에 오르는 재판매를 뜻하는 용어. 공산품과 달리 '유일성'의 속성을 가진 미술품은 가격 추이를 직접 비교하는 게 어렵기에 동일 작품의 반복 거래 사례인 '리세일' 가격이 시장의 바로미터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오는 9일 열리는 K옥션 봄 경매에는 지난 2011년 6월 경매에서 9억4,000만원에 낙찰된 김환기의 '창공을 날으는 새'가 추정가 12억~18억원에 다시 나왔다. 5년 전 추정가가 7억~9억원이던 것과 비교하면 2배 가량 상승했다. 김환기는 지난해 10월 대표작인 푸른 점화 '19-Ⅶ-71 #209'가 47억2,100만원(2,100만 달러)에 낙찰돼 국내 미술경매 사상 최고가 기록을 8년 만에 깼으며,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단색화'를 태동시킨 한국 현대추상의 선구자로 꼽힌다.

이 경매에는 지난 2007년 9월 11억 5,000만원에 낙찰됐던 천경자의 '정원(園)'도 다시 나왔다. 11억~15억원이던 추정가는 9년 만에 13억~20억원으로 올랐다. 특히 2007년은 뉴욕발 금융위기로 타격을 입기 직전 국내 미술계의 호황이 절정이던 때라 당시 가격을 넘어설 경우 미술시장이 회복에 이은 호황에 접어든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정원'이 추정가 선에서 낙찰되면 천경자의 경매 최고가 작품인 '초원Ⅱ'의 12억원 기록을 경신하게 된다.

오는 16일 막을 올리는 서울옥션 경매에도 천경자의 리세일 작품이 선보인다. 꽃다발을 가슴에 안고 머리에 화관을 쓴 전형적인 천경자식 미인도 '여인'으로, 앞서 2008년 3월 경매에 추정가 5~7억원에 나와 5억원에 낙찰된 것이 이번에는 추정가 6억5,000만~12억원으로 몸값을 올려 새 주인을 기다린다.

미술품 회전율에 해단하는 '리세일 주기'는 7~8년에서 길게는 10~15년 정도다. 투기 세력이 몰려 시장에 거품이 끼는 경우 손바뀜이 2~3년 새 일어나기도 하지만 이 경우 투자 손실의 위험이 높은 편이다. 서울옥션과 K옥션의 대표를 모두 지낸 김순응 김순응아트컴퍼니 대표는 " 호황 때 구매했던 컬렉터가 장기 보유 이후 가치상승을 실현하기 위해 되팔려고 내놓은 것은 시장에 대한 긍정적 해석일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