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국정원, 8일 긴급 국가사이버안전대책회의

"北 사이버테러 가능성 높아"

정부는 테러방지법 후속조치 논의 착수

국가정보원은 8일 긴급 국가사이버안전대책회의를 개최하고 기관별 대비태세를 점검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이번 회의 개최는 북한이 4차 핵실험 이후 국가기반시설 인터넷망 및 스마트폰 등에 대한 해킹 공격을 통해 우리의 사이버 공간을 위협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라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최종일 국정원 3차장이 주관하는 이번 회의에는 국무조정실, 미래창조과학부, 국방부, 금융위원회 등 14개 부처 실·국장급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참석자들은 정부 및 공공기관 대상 사이버 테러 시도 및 국내 주요인사 스마트폰 해킹 등 최근 북한의 사이버 공격 사례를 공유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국정원은 “사이버 테러는 공격 근원지 추적이 어려워 신속한 대응이 곤란한데다 막대한 사회ㆍ경제적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국제사회 제재 조치에 반발하고 있는 북한이 사이버 테러를 자행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고, 실제 현실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국정원은 2011년 ‘농협 전산망 사이버 테러’, 2013년 ‘3·20 사이버테러’ 등 북한이 주도한 대규모 사이버테러 사건이 발생하거나 징후가 포착될 때 긴급 국가사이버안전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오균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 주재로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하고 지난 3일 공포된 테러방지법 후속조치를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각 관계기관별 대테러 업무 추진현황을 확인·점검 ▲테러방지법의 입법 취지와 주요내용 공유 ▲테러방지법 시행령 제정 및 국가테러대책위원회 구성 등에 대해 논의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