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농가 고령화 가속

65세 이상 40%육박… 소득도 낮아

경기硏 "소득안정 정책 통합관리를"

경기도의 농가와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 수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통계청 자료를 기반으로 '경기도 고령농가 소득안정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 연구보고서를 7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농가의 고령층(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지난 2000년 21.7%에서 2014년 39.1%로 상승해 빠른 고령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경기도 농가의 고령층 인구 비율도 17.0%에서 32.3%로 상승했다.

고령농가의 소득은 중장년농가(65세 미만) 소득의 53.5%에 불과해 소득수준도 낮은 상황이다. 2014년 기준 전국 고령농가의 평균소득은 2,597만원으로 65세 미만 농가 소득 4,853만원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기도 고령농가 소득은 2,806만원으로 전국 평균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고령농가에서 영세농가(경지면적 0.5ha 미만)가 차지하는 비율도 2014년 45.7%로 빈곤가구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소득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가구가 70대 이상 고령층에서 28.6%로 높았으며 경기도의 경우 20.5%로 전국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른 대책으로 우선 고령농가를 위한 소득안정정책 간 상호연계성을 높이고 일관된 통합관리체계로 정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고령농가의 안정적인 소득 확충은 농가 특성을 고려해 자산기반 및 노동기반의 두 축으로 진행하고, 현재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자산기반 소득안정정책 간 연계성을 높여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농지연금도 재정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입 및 승계조건을 완화하고 연금수령 방식을 다양화하며 경영 이양 직접 지불제를 농지연금과 연계하는 등 자산기반 소득안정정책의 유연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원=장현일기자 hichang@sed.co.kr


관련기사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