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이렇게 하려고 선거구 획정 그리 늦췄나.

“시간없다”며 여야 전략공천 몰두

시스템·상향식 공천원칙 무너뜨리고 ‘내려꽂기’ 공천

이렇게 하려고 선거구 획정을 그렇게 늦췄나.


여야가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기존에 세웠던 ‘상향식 공천’ 원칙을 무너트리며 전략공천에 몰두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지난 8일 “비례대표 역시 상향식 공천으로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인기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를 본떠 비례대표 경선을 ‘국민 오디션’으로 진행하겠다던 김무성 대표의 계획을 정면으로 거부한 셈이다. 이와 관련 이 위원장은 “상향식 공천은 그동안 어떻게 하면 비례대표를 잘 선정할 수 있을까 논의하는 과정에서 나온 얘기지만 시간이 없다”고 설명했다. 새누리당은 지역구 공천 심사 과정에서도 전략공천을 배제한 100% 상향식 공천 원칙을 깨고 우선 추천과 단수추천을 통해 사실상 우회 전략공천 명단을 발표했다. 당 관계자는 “여야 선거구 협상이 너무 늦었고 전 지역구를 상향식 공천하기는 시기적으로 어렵다”고 답했다. 하지만 살생부 논란, 여론조사 문건 유출, 윤상현 의원 막말파문 등이 잇따라 논란이 되면서 사실상 공천 과정에 외압이 작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영입인사가 많은 더불어민주당 역시 전략공천을 남용했다는 평가다. 홍창선 공천관리위원장은 “제대로 공천 심사할 시간이 없다”고 말했지만 사실상 공천과정에서 지도부의 입김이 지나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게 당 안팎의 중론이다. 용인정 지역에 당 비대위원인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를 전략공천 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표 전 교수의 경쟁자인 김종희 예비후보는 “지도부 일원으로서 가장 먼저 자기를 공천하는 이른바 셀프 낙하산공천을 즉각 취소하라”고 반발하기도 했다. 아울러 웹젠 이사회 의장 출신인 김병관 비대위원도 분당갑에 전략공천을 받아 논란이 됐다. 당 영입인사 외에도 박원순 시장 측근들도 전략공천 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당 관계자는 “하위 20% 컷오프 발표 이후 시스템 공천 원칙보다는 당 지도부의 전략적 판단이 많이 들어가고 있다”며 “원칙이 무너지다 보면 큰 반발에 부딪힐 것”이라고 설명했다./박형윤기자manis@sed.co.kr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