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파국 막은 安·千 회동

-천정배, 안철수의 '독자노선론'에 동의

-안철수 중심으로 당내 갈등 빠르게 정리될 듯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와 천정배 국민의당 공동대표가 단 둘이 만나 당내 분란을 매듭지었다. 천 대표는 야권 연대론을 접고 안 대표의 독자 노선론에 몸을 실었다.

안 대표와 천대표는 15일 여의도 모처에서 만나 야권연대를 놓고 머리를 맞댔다. 두 대표는 첫 회동으로 이견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했으나 “논의를 더 이어간다”는 데 합의해 갈등 봉합의 청신호를 켰다.


천 대표는 이날 저녁 “여러 여건 상 당 차원의 수도권 연대는 여의치 않고, 이 상태에서 더욱 열심히 당 대표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에 이르렀다”며 야권연대론을 폐기하고 당무 복귀를 예고했다. 독자 노선론을 고집한 안 대표의 주장에 동의한 것이다.

관련기사



야권 연대를 부르짖던 천 대표가 마음을 고친 이유로 야권연대에 부정적인 더불어민주당의 상황이 꼽힌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이날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천 대표의 제안에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호응을 보이지 않았던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말했다. 연대의 당사자가 시큰둥한 탓에 천 대표의 주장에 힘이 실리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윤 실장은 “더민주가 이해찬 파동 등 실기를 많이 하고 있기 때문에 (독자적으로도) 솟아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한길 국민의당 의원은 “답답하다”며 “한 달 뒤의 결과에 야권의 지도자들 모두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불만을 드러냈다. 그러나 당내 두 축인 천정배계와 안철수계가 야권연대를 접은 이상, 김 의원 등이 반발을 하더라도 찻잔 속의 태풍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국민의당 내 갈등이 빠른 속도로 진정될 것으로 보인다.

복잡한 3두 체제로 흔들리던 국민의당 내 리더십 구도가 정리될 전망이다. 탈당 등을 언급하며 흔들리다 결국 독자 노선론으로 갈아탄 천 대표의 리더십은 상처를 피할 수 없게 됐다. 당직에서 사퇴한 김한길 의원 역시 마찬가지다. 이미 당직에서 물러난 이상 탈당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 이와 달리 독자 노선론에서 철수하지 않고 버텨낸 안 대표를 중심으로 리더십이 공고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경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