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행장 리스크' 한숨돌린 企銀 '성과연봉제' 도입 속도 낼까

권선주 행장 사퇴설 일단락… 금융당국 성과제 도입 압박

노조반발 크지만 총대 멜듯

지난 몇 달간 기업은행을 뒤숭숭하게 하던 '행장 리스크'가 사라지면서 이제는 성과연봉제 도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권선주 행장이 지난 14일까지 행장직 사퇴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서 권 행장의 새누리당 비례대표 차출설은 일단락됐다. 하지만 금융 당국이 "국책은행이지만 시중은행과 가장 유사한 기업은행이 성과연봉제 도입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압박을 계속 가하고 있어 기업은행으로서는 부담스러운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지난달 5일 나라장터에 '성과 중심의 개인평가체계 개편 및 직무급 도입'과 관련한 제안공고를 낸 후 최근 인사관리(HR) 컨설팅 업체인 '머서코리아'를 최종 선정했다. 머서코리아는 오는 5월 말께 보고서를 내놓을 예정이며 기업은행은 이 보고서를 토대로 성과연봉제 방안을 올 상반기 마련한 후 노사 간 합의를 거쳐 연말까지 성과연봉제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기업은행이 이처럼 발 빠르게 움직이는 이유는 성과주의 도입과 관련해 사실상 기업은행을 타깃으로 한 금융 당국의 압박이 계속되는 탓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 7일 제2차 금융공공기관장 간담회에서 "정책금융기관들도 혁신을 유도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성과 중심 문화의 정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은행은 이미 성과연봉제를 적용 중이며 수출입은행은 부서장급 이상에게 성과연봉제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기업은행을 겨냥한 발언이라는 것이 금융권의 시각이다. 실제 금융위는 올 초 기업은행의 예산 승인을 늦추는 방식으로 기업은행 측을 압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은행 경영진의 고민은 깊다. '행장 리스크'가 사라져 내부 추진 동력은 확보됐지만 노조 반발을 감안하면 상황이 녹록지 않은 탓이다. 금융계 고위관계자는 "기업은행이 민간은행 성격이 강하더라도 결국은 정부가 최대 지분을 가진 국책은행"이라며 "기업은행이 성과연봉제 도입과 관련한 총대를 멜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