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金"국민공천 취지에 위배" 李"알아듣는 척하더니 딴소리"

김무성-이한구 공천결과 놓고 정면충돌

金“당헌당규에도 어긋나… 단수·우선추천 8곳 보류”

李“다 설명했는데 저런식으로 나와… 진짜 열 받아”

주호영 공관위 재의 요청도 20분만에 바로 반려돼

막바지로 치닫던 새누리당 공천심사 결과를 놓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공천 칼날을 쥔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정면 충돌하는 양상이 벌어졌다. 이재오 의원과 주호영 의원 등 공천배제(컷오프)된 비박계 현역들을 구제하는 과정에서다. 김 대표는 기자회견을 열고 공천 결과가 당헌·당규에도 위배되고 국민공천 취지에도 맞지 않는다고 조목조목 반박했지만 이 위원장은 바로 “(김 대표와) 만나서 다 설명을 했는데 그때는 알아듣는 척하더니 나중에 (공개 기자회견을 여는 등) 저런 식으로 나온다”며 “아주 진짜 열이 난다”고 원색으로 비난했다.

김 대표의 기자회견은 비박계인 친이계의 이재오·주호영 의원의 반발이 예상외로 거세지는 상황에서 나왔다. 이날 이 의원의 지지자 150여명은 여의도 당사에서 “상향식 공천은 온데간데 없고 폭군의 사주를 받은 망나니의 칼춤만 가득하다”며 강력히 항의했다.

이에 따라 김 대표는 이날 오후5시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 의원의 지역구인 서울 은평을을 포함한 7개 지역의 단수후보 추천 결과와 주 의원이 재심을 신청한 대구 수성을의 여성 우선추천지역 선정 결과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김 대표는 “단수추천지역 7곳, 우선추천지역 1곳의 의결을 보류한 것은 첫째, 당헌·당규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었고 둘째, 국민공천제 취지에 반하는 ‘전략공천’ 성격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실상 이 위원장 주도의 공천 결과에 대해 정면 반박한 것이다. 문제의 7개 단수후보 추천지역은 서울 은평을·마포갑·송파을과 대구 동구갑·달성군, 경기 분당갑·을 등으로 알려졌다. 은평을은 친이계 맏형인 이 의원이 컷오프된 지역이다. 동구갑이나 분당갑은 친유승민계인 류성걸·이종훈 의원이 진박인 정종섭 전 안행부 장관과 권혁세 전 금감원장에 자리를 내주면서 컷오프된 곳이다. 분당을은 친이계의 임태희 전 의원이 컷오프되면서 진박인 전하진 의원이 공천을 받은 곳이다.

관련기사



김 대표는 이 의원에 대해 “당 원내대표를 두 차례 한 사람이고 우리 정권에서 장관을 한 사람이고 김대중·노무현 정권 때 가장 앞장서 싸워왔던 대표적 인물”이라며 “우리 당에서 다섯 차례나 공천된 사람을 이제 와서 정체성에 맞지 않다고 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위원장은 “당 정체성에 어긋나는 역할을 계속해 국회 운영에 장애를 초래했다”며 “한 번만 하는 건 괜찮다. 이게 상습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걸 가만 놔둬야 하나. 정리를 해야 할 거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위원장은 이어 “(김 대표 회견) 내용 중 자칫 공관위가 당헌·당규를 위반하고 임의로 결정하는 듯 말한 부분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그 결정은 사무총장·부총장이 모두 참여한 가운데 만장일치로 결정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두 사람이 공천 결과를 놓고 해석도 180도 전혀 다르고 팽팽히 맞서는 상황이 된 것이다.

대구 수성을은 주 의원이 혼자 공천을 신청했지만 여성 우선추천지역으로 정해진 것에 대해서도 김 대표는 공관위에 재의를 요청했다. 김 대표는 주 의원에 대해 “세월호 사고를 잘 수습하고 공무원연금개혁위원장으로 개혁 완수에 큰 역할을 했고 국회 정보위원장으로서 테러방지법을 통과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치켜세웠지만 이 위원장은 “(주 의원이) 거기(수성을 지역구)에서 실컷 하지 않았느냐”며 “4선까지 하겠다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특히 이 위원장은 여성 추천지역을 시골 지역이나 당선이 어려운 지역에 해놓고 생색내는 것보다 대구 등 당선 가능성이 높은 곳에 전략배치 하는 게 당연한 것 아니냐고도 했다. 여성 의원 배려를 위해 당선 가능한 지역에 배치를 하다 보니 주 의원을 뺄 수밖에 없었다는 취지다.

이 위원장은 김 대표의 대구 수성을 재의 요구에 “공관위 내부에서 논의한 결과 재의 요구를 반려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기자회견 20분도 채 안돼 재의 요구를 거절해버린 것이다. 이미 공관위와 최고위의 구성에서 주류 친박계가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는 만큼 실제로 결과의 번복이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지만 김 대표가 기자회견을 통해 공천 결과에 공개적으로 제동을 건 모양새여서 공천 결과가 일부라도 바뀌지 않으면 김 대표의 리더십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나윤석기자 nagija@sed.co.kr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