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혁신현장 리포트] 순천향대 지역창의혁신인력양성사업

고출력 리튬전지 시장 선점 위해 지역기업과 맞손

단체사진
순천향대학교 나노화학공학과 에너지변환 연구실 학생들이 지역혁신창의인력양성사업 공동세미나를 마친 후 환하게 웃고 있다. /사진제공=순천향대
정순기 사진-1

친환경 자동차인 전기자동차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전기차에 사용되는 저가의 고성능 리튬전지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순천향대학교 나노화학공학과 에너지변환 연구실(책임교수 정순기·사진)은 고출력 리튬전지를 개발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리튬 일차전지 중에서 특히 Li/SOCl2 전지가 주목받고 있는데 Li/SOCl2는 최근 군 전투력 향상을 위한 휴대용 개인화기 보조 장비의 전원으로 최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Li/SOCl2는 리튬 전극과 전해액과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부동화 막의 존재로 전지 성능이 약화되는 치명적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최초의 연구를 위해 순천향대학교 나노화학공학과 에너지변환 연구실이 나선 것이다.

정부의 지역창의혁신인력양성사업에 선정된 연구실은 리튬 일차전지 분야 세계 3위이면서 지역 기업인 ㈜비츠로셀과 협력해 전지 기술개발에 필요한 연구 인력을 배출했다. 연구실은 사업 수행을 통해 SOCl2 전해질 분해에 의해 리튬에 생성되는 LiCl 피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개질과 전해질 첨가제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실은 이 기술을 군용장비 핵심 전원인 Li/SOCl2 일차전지에 적용해 우수한 Li/SOCl2 단위전지를 제작했다. 이 전지를 군용 일차전지에 적용한다면 비전투로 인한 전투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기차에 긴급 보조 전원으로 활용한다면 전기차 신시장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순기 책임교수는 "지역 거점 대학들이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중소기업의 수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한다면 지역 기업들은 산업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고 지역 대학들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우인 기자wipark@sed.co.kr


관련기사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