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2년 만에 중거리 미사일 발사, 노동미사일 추정

北, 2년 만에 중거리 미사일 발사, 노동미사일 추정

평남 숙천서 발사, 약 800㎞ 비행…무력시위 강도 높여


두 발중 한 발은 공중 폭발한 듯

북한이 18일 동해상으로 중거리 ‘노동미사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하며 무력시위의 강도를 한 단계 높였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오늘 새벽 5시 55분께 평안남도 숙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노동미사일로 추정되는 이 미사일은 약 800㎞를 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인 노동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2014년 3월 26일 이후 약 2년 만이다. 노동미사일은 고폭탄과 화학탄을 장착할 수 있으며 최대 사거리가 1,300㎞에 달해 대한민국 전역은 물론, 일본 주요 도시까지 사정권에 들어간다. 이 때문에 일본은 북한의 노동미사일 발사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해왔다. 1990년대에 작전 배치된 노동미사일의 탄두 중량은 약 700㎏이다.

합참은 또 “북한이 오전 6시 17분께 평안남도 숙천에서 발사한 미사일로 추정되는 미상의 항적이 추가로 잡혔다”며 “(항적은) 약 17㎞ 상공 레이더에서 사라졌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북한이 노동미사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에 이어 발사체 1발을 추가로 쐈으나 이 발사체는 공중 폭발했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합참은 “분석 결과, 미사일 발사로 추정되나 허상인지 여부는 추가로 분석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10일 동해상으로 스커드 미사일로 추정되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한 바 있다. 북한이 8일 만에 중거리 미사일을 발사함으로써 무력시위의 강도를 높인 셈이다.

북한이 단거리와 중거리 미사일을 잇달아 발사한 것은 국제사회의 고강도 대북 제재와 한미 연합훈련인 키리졸브(KR)·독수리(FE) 연습에 대한 반발로 해석된다. 키리졸브 연습은 이날 종료되지만 독수리 연습은 다음 달 말까지 계속된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고강도의 추가 도발로 한반도 위기 수준을 계속 끌어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권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