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측근 줄줄이 공천 낙마에도 박 시장 “당이 잘 알아서 결정했을 것” 덤덤

측근 줄줄이 공천 낙마에도 박 시장 “당이 잘 알아서 결정했을 것” 덤덤

박원순 서울시장박원순 서울시장





더불어민주당의 4·13총선 공천과정에서 박원순(사진) 서울시장의 측근들이 줄줄이 낙마한 것과 관련 박 시장은 “당이 다 잘 알아서 결정한 일”이라며 무덤덤하게 받아들였다. 박 시장은 18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당에 섭섭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당이 다 알아서 하신거고 ‘박원순의 남자’가 어디 있나. 자기 사람 챙기는 게 계파를 만드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저와 같이 일했던 사람들이 잘 되면 좋은 일이지만 제가 특별히 그런 것 없이 서울시장 노릇 잘 해왔지 않느냐”며 ‘대권 주자로서의 박 시장을 견제하려는 공천 결과로 보지 않느냐’는 질문에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공천 결과에 대한 서운함을 직접 표출하지는 않은 것이다. 하지만 측근들은 안타까운 속내를 감추지 않았다. 한 측근은 “이왕이면 박 시장과 함께 행정을 했던 사람들이 정계로 많이 진출하면 좋겠지만, 이번 공천결과는 안타깝다”고 했다.

관련기사



일부에서는 박 시장 측근들의 대거 낙마는 어느 정도 예견돼 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승창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서울시로 오지 전에 더민주당 비례대표를 예상했지만, 계획이 틀어져 서울시로 방향을 튼 것으로 알려졌다. 하 정무부시장은 서울 도봉을에 도전했던 천준호 전 서울시장 비서실장과 함께 박 시장의 핵심 측근으로 분류돼 왔다. 하 정무부시장의 비례대표 시도가 좌절된 이후 박 시장측이 당과 더 긴밀한 연결고리를 만들었어야 했는데, 너무 안이하게 당의 판단에만 의존한 게 이번 결과를 낳은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박 시장 스스로가 과감하게 나서서 측근들을 챙기는 스타일은 아니더라도 당과 박 시장을 연결할 핵심인물을 배치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박 시장측은 여러 경로를 통해 더민주당에 입장을 전달했지만, 당내 핵심포스트에 박 시장의 맨들이 없어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실제 박 시장의 한 측근은 “여러 경로로 입장을 전달했지만, 당에 확실한 박 시장 사람이 없어 이런 결과가 나온 게 아니겠느냐”고 했다. 더민주당 내부에서는 박 시장이 이번에 ‘현실정치의 벽’을 톡톡히 실감했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편 이번 총선에서 공천을 신청한 박 시장 측근 가운데 임종석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과 권오중 전 서울시 정무수석, 강희용 전 더민주 부대변인, 민병덕 변호사 등이 있지만, 모두 경선에서 탈락했다. 권 전 정무수석은 경선 실패후 “현실정치의 벽을 실감했다”는 소회를 남겼다. 그는 “박원순 시장의 생활정치가 답이라고 호기있게 나섰건만 조직도, 연고도 없는 상태에서의 90일간의 도전은 결국 실패로 끝이 났다”며 더 이상 현실정치에 도전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천 전 비서실장도 서울 도봉을 공천에 도전했지만 오기형 변호사의 전략공천으로 고배를 마셨고 강북을 공천을 기대하고 있지만 확정되진 않았다. 오성규 전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전략공천 카드로 거론되면서 노원갑 경선을 중단하고 대기 중이다. 여기에 김민영 전 참여연대 사무처장도 광주 북갑 공천에 희망을 걸었지만 정준호 변호사가 공천됐고, 서울 동작을 강희용 전 더민주 부대변인은 경선서 패배했다. 유일하게 단수추천으로 공천을 받아 본선을 향해 뛰고 있는 박 시장 측근은 기동민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유일한 상황이다.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