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노골화되는 여야 포퓰리즘… 총선 후가 걱정이다

여야가 극심한 내홍 속에서도 4·13총선에 나서는 대진표를 거의 확정하고 득표를 위한 선거운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친박근혜계와 비박계 간 대치로 파행을 겪던 새누리당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는 20일 전날(64곳)에 이어 20곳의 경선 결과를 발표하는 등 유승민 의원의 공천 여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공천작업을 마무리했다. 더불어민주당도 이날 당 중앙위원회에서 비례대표 명부 확정에 대한 논란은 있었지만 공천은 거의 확정한 상태다.

여야가 공천과정에서 불거진 계파 간 갈등과 대립에도 공천작업을 서두르는 것은 앞으로 남은 정치일정이 빠듯하기 때문이다. 24~25일 19대 총선 후보등록과 31일부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것을 감안하면 당내 내부갈등을 이유로 더 이상 공천작업을 미룰 수 없는 것이 여야의 고민이다. 갈등지역을 놓아둔 채 막바지 공천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정책공약도 내놓는 등 선거운동 채비에 속도를 높이는 것도 이런 사정에서다.

문제는 내부갈등은 차치하더라도 선거에서 정작 중요한 정책과 공약개발 경쟁이 항상 뒷전으로 밀렸다는 점이다. 국회나 정부 차원에서 추진돼야 할 일자리대책과 복지정책 등이 지역 후보의 '개인기'에 의존하거나 당내 전문가들의 임시방편과 개인 의견 수준의 정책공약을 재탕·삼탕하는 데 그치고 있다. 특히 최악의 청년실업률을 해결하겠다고 여야의 지역 후보들이 내놓은 청년일자리 대책 대부분은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포퓰리즘 대책에 불과할 뿐이다.

이래서야 4월 총선으로 꾸려질 20대 국회가 제대로 국정을 운영할 수 있을지 걱정부터 앞선다. 현재 상황을 보면 여야는 선거 결과가 나오자마자 당 주도권을 잡기 위한 내부 권력투쟁에 시달릴 것이 자명하다. 이 과정에서 상호 모순되는 포퓰리즘 정책과 공약이 내부단합의 발목을 잡거나 갈등을 부추길 소지도 크다. 20여일 앞으로 다가온 선거보다 총선 이후가 더 걱정되는 이유다. 여야는 이제라도 경제위기를 타개할 정책과 공약 개발 경쟁에 나서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