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수출 주력기업 10곳 중 8곳 “주력제품 쇠퇴·정체기 접어들어”

대한상의, 13대 수출산업 300개사 조사

응답기업 87% “신사업 계획 있다”…추진분야는 ICT 융합이 48%로 가장 많아

절반 이상이 검토단계로 진행속도 느려…안정적 자금 공급 및 규제개혁 필요

수출 주력산업에 속하는 기업 10곳 중 8곳은 매출이나 이익이 줄어드는 쇠퇴기 또는 정체기에 접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첨단소재 개발 등 신사업 추진계획이 많았으나 초기단계에 불과해 성과를 도출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가전·반도체·석유화학·자동차·철강 등 13대 수출 주력제조업체 300개사를 대상으로 ‘우리 기업의 신사업 추진실태와 시사점’을 조사해 21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업체의 66.3%가 주력제품의 수명 주기에 대해 매출 확대가 더디고 가격과 이익은 점점 떨어지는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답했다. 매출과 이익 둘다 감소하는 쇠퇴기로 들어섰다는 기업은 12.2%였다.


반면 매출이 빠르게 늘면서 고이익을 거두는 성장기라고 답한 기업은 21.5%에 그쳤다. 새로운 시장이 태동하는 도입기라는 업체는 한군데도 없었다.

업종별로는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응답은 컴퓨터(80%), 섬유(75.0%), 평판디스플레이(72.2%), 무선통신기기(71.4%)에서 많은 반면 자동차(50.0%)와 반도체(41.7%)는 비교적 적었다. 쇠퇴기라는 응답은 선박(26.1%), 섬유(25.0%), 평판디스플레이(22.2%) 순으로 높았다.

대한상의는 “섬유와 조선 등 노동집약적인 산업뿐 아니라 시장이 포화되고 기술력이 상향평준화된 정보기술(IT) 산업까지 구조적 어려움에 직면해있음을 나타낸다”며 “비교적 상황이 나은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도 후발국의 추격과 시장변화가 빨라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성장둔화에 대응해 신사업 추진에 나선 기업들이 많았으나 아직 검토단계인 곳이 많아 과감한 투자와 규제 완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86.6%가 ‘신사업 추진에 나서겠다’고 밝혔으며 추진분야로는 기존 사업과 연관된 분야(45.7%)나 동일 분야(43.0%)라고 답해 완전히 새로운 비즈니스를 시도하기 보다는 현재의 강점을 살리려는 경향이 강했다. 새로운 산업분야로 진출을 추진하는 곳은 11.3%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신사업 진출 분야로는 ICT 융합이 47.9%로 가장 많았으며 신소재·나노(28.6%), 에너지신산업(26.1%), 서비스산업 결합(9.7%), 바이오헬스(5.9%), 고급소비재(3.4%) 등이 뒤를 이었다. ICT 융합의 대상에 대해서는 사물인터넷·스마트홈(43.9%), 드론·무인기기(30.0%), 3D프린팅(12.3%), 인공지능·로봇(11.5%), 가상·증강현실 시스템(4.3%)을 들었다.

하지만 신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도 대응이 초기단계에 불과해 앞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드러났다. 신사업의 진행상황을 묻는 질문에 가능성 검토단계(56.6%)라거나 구상단계(9.3%) 등 시작단계에 있는 기업이 기술력 확보 등 착수단계(23.2%), 제품출시 단계(10.5%), 마무리 단계(0.4%)에 있는 기업보다 2배 가량 많아 빠른 사업 진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사업 추진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으로는 절반가량의 기업이 불투명한 수익성(49.5%)이 가장 많았고, 이어 관련 기술과 노하우 부족(21.8%), 장기전략 부재(15.8%), 미래정보 부족(11.9%) 등을 꼽았다.

신사업 추진을 앞당길 수 있는 방안으로는 안정적 자금공급(26.1%)을 주문한 기업이 많았다. 이어 규제개혁(20.5%)과 시장형성 및 선점을 위한 테스트베드 활성화(17.8%), 사업재편과 인수합병(M&A) 등 자발적 구조개선 지원(17.2%), 산업수요에 맞는 인재 배출(11.2%)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지난 달 정부가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발표한 신산업 투자지원정책에 대해 기업들의 평가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네거티브 방식의 규제심사를 도입해 신산업 관련 규제는 원칙적으로 모두 개선하고 R&D, 인력, 금융·세제, 판로·입지 등을 집중 지원해 신산업을 적극 육성하기로 한 바 있다. 러한 정부의 신산업 지원방안이 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기업의 92.8%가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기업들이 신산업시장에 대해 수익성이 불투명하다고 느끼고 있는 만큼 규제를 풀어 투자욕구를 자극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금융·노동개혁을 이행해 사업환경을 개선하는 것과 동시에 규제를 정비해 기업 자율성을 높이는 등의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