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일본은 서비스산업으로 고용시장 활력 불어넣는데

일본 대기업들이 6년 연속 대졸 신입사원 채용을 늘릴 예정이라는 소식이다. 외신에 따르면 일본의 주요 기업들은 내년 봄 대졸 사원 채용규모를 올해보다 10.7%나 늘려 잡고 있다. 청년들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는 우리로서는 부러운 얘기가 아닐 수 없다.

주목해야 할 것은 전통 제조업이 아니라 서비스 산업이 일본 고용시장에 훈풍을 불게 했다는 사실이다. 철강업계는 내년 채용인력이 6.1%나 감소하고 조선업도 0.2% 줄어들지만 비제조업에서 13.1%나 급증하며 고용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관광·레저 업계는 외국인 관광객이 대거 몰려오자 사업영역을 넓히기 위해 채용규모를 10~20%씩 늘렸고 외식업체나 병원들도 인재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한국을 따라잡겠다며 관광규제를 풀고 헬스케어·서비스업 지원을 확대한 일본 정부의 과감한 정책이 실적호전과 고용창출이라는 선순환 효과를 낸 셈이다.

일본뿐 아니라 태국·싱가포르 등 아시아 각국은 서비스 산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제조업의 고용효과는 쪼그라드는 반면 서비스 산업이야말로 일자리의 보고라는 사실을 간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우리는 서비스 산업의 취업자 비중이 해마다 떨어지고 생산성도 글로벌 꼴찌 수준을 맴돌고 있다. 청년들의 80%가 서비스 분야에서 일하고 싶다는데도 새 일자리를 만들기는커녕 멀쩡한 면세점과 대형 할인매장, 외식업체마저 규제의 칼날을 견디지 못해 줄줄이 무너지고 있는 게 우리 현실이다.

일본은 이미 제조업 구조조정을 거쳐 서비스 산업 위주로 사업재편을 단행해 효과를 보고 있다. 우리는 이런 명확한 해법을 뻔히 알고도 기득권층의 이기심과 정치권의 욕심에 갇혀 헛바퀴만 돌리고 있을 뿐이다. 정부도 진정 청년실업을 걱정한다면 일본 사례라도 본받아 국내 서비스 산업에 대한 근본적인 지원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