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심한 잠꼬대는 치매·파킨슨병 전조 증상"

정기영 서울대병원 교수팀 연구

심한 잠꼬대를 하는 등 '렘수면(몸은 자고 있으나 뇌는 깨어 있는 상태)행동장애'가 있는 사람은 치매나 파킨슨병을 앓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기영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렘수면행동장애'가 치매·파킨슨병으로 대표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고 23일 밝혔다.

사람이 꿈을 꾸면 뇌는 활성화되지만 팔다리 근육은 일시적으로 마비돼 행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렘수면행동장애인 사람은 꿈을 꾸는 도중에도 근육이 계속 긴장하고 있어서 신체 일부를 움직이는 증상을 보인다.

연구팀은 렘수면행동장애 환자 20명과 정상인 10명을 대상으로 수면 전후 뇌파검사를 했다. 그 결과 특별한 인지장애가 없음에도 대뇌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는 사람의 뇌파는 치매·파킨슨병의 초기 단계 증상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지금까지는 인지장애가 동반된 렘수면행동장애에만 뇌파에서 이상 소견이 있다고 알려졌다.

렘수면행동장애는 특히 50대 남성에게 많이 발생됐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폭력적인 꿈을 꾸면서 소리를 지르고 팔다리를 과격하게 휘젓게 된다. 심지어 옆에서 자는 사람을 때리거나 주먹으로 벽을 치는 행위를 보인다.

정 교수는 "노년기에 발생하는 렘수면행동장애는 증상 발생 후 5∼10년이 지나면 상당수가 치매·파킨슨병 등 퇴행성 신경질환으로 악화할 수 있다"며 "나이 든 사람이 잠버릇이 안 좋다면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전문의와 상의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관련기사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