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주류 항복' 받아낸 김종인… 총선후 더민주 당권 경쟁 본격화 예고

■ 김종인 당 잔류 선언

'싸울 줄 아는' 金 복귀 명분 스스로 만들어낸 셈

"문재인 만류 영향 없어" 文 전대표와도 거리감

비례의원 등 '김종인 사단' 구성 대표 도전 가능성

본청 나서는 김종인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23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거취 입장표명을 한 뒤 본청을 나서고 있다. 김 대표는 이날 자신의 거취와 관련, "고민 끝에 이 당에 남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면서 대표직 유지 의사를 밝혔다. /권욱기자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23일 당무에 복귀하며 대표직 유지를 선언했다. 문재인 전 대표의 긴급 상경 사과와 문 전 대표와 가까운 우윤근·표창원·김병관 비대위원 등의 '백기 투항'을 받아내고서다. 김 대표는 이날 비례대표 명단에도 2번 순번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총선을 20여 일 앞두고 벌어진 김 대표의 '셀프공천' 사태가 김 대표의 승리로 봉합됐지만 아직 갈등의 불씨는 꺼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가 대표직 유지를 천명하면서도 주류에 대한 반감을 그대로 드러내는 등 총선 이후 당권 경쟁과정에서 주류와의 갈등이 예상된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 당 대표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실 며칠 동안 깊이 고민을 해봤다"며 "나의 입장만을 고집해서 우리 당을 떠난다면 선거가 20여 일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어떤 상황이 전개될 것인가에 대한 나름의 책임감도 느끼게 됐다"고 복귀를 선언했다. 김 대표는 지난 22일까지 대표직 사퇴설을 흘리며 주류를 압박해왔다. 이 과정에서 문 전 대표는 김 대표의 서울 구기동 자택을 급히 예방해 예우를 갖췄고 김 대표의 비례대표 순번을 2번에서 14번으로 배치하자고 주장했던 비대위원들도 22일 자정까지 김 대표의 자택에 머물며 "대표를 모시지 못한 책임이 크다"며 되레 비대위원 사퇴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당 관계자는 "김 대표는 싸울 줄 아는 분"이라며 "자신의 복귀 명분을 스스로 만들어냈다"고 평가했다.

항복 선언을 받고 당에 복귀한 김 대표는 주류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그대로 노출했다. 그는 "(자신이 확정했던 비례대표 명단에 대해) 상당수가 당의 정체성 운운을 했는데 그 표결 결과로 보면 말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며 "아직도 더민주는 구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지적했다. 주류 의원들이 비례대표 1번을 받은 박경미 홍익대 교수 등에 대해 정체성과 도덕성 시비를 문제 삼았지만 결국 청년·노동·취약지역 등 각 운동권 성향의 인사들을 비례대표 명단에 집어넣기 위해 '이전투구'를 벌였다는 판단이다. 아울러 김 대표는 문 전 대표의 사퇴 만류가 당 잔류에 영향을 미쳤느냐는 질문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며 문 전 대표와의 거리감도 나타냈다.

김 대표는 자신이 비례대표 2번 순번을 받은 것에 대해 "내가 당을 끌고 가는 데 필요했기에 선택한 것"이라며 "내가 당을 떠남과 동시에 비례의원직 사퇴를 던진다는 각오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총선 이후 20대 국회에 들어가 진영 의원과 자신이 선정한 비례대표 의원 등으로 '김종인 사단'을 구성해 오는 5월 당 전당대회에서 정식 대표 자리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선은 치르고 보자"며 김 대표 앞에 일단 항복을 선언한 주류도 당권 경쟁에 뛰어들 가능성이 높아 치열한 내전이 예고된다.


관련기사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