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부정적 여론·자금 부담에 "대우증권 인수에만 집중"

미래에셋, 현대증권 인수전 불참 결정 왜

현대證 본입찰은 25일 진행

현대증권 인수전 참여를 검토해온 미래에셋증권이 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최종 결정했다. 대형증권가 두 곳을 동시에 인수한다는 부정적 여론과 자금 조달의 부담을 감수하기보다 눈앞에 닥친 대우증권 인수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미래에셋증권은 23일 현대증권 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전날 "LK투자파트너스로부터 전략적투자자(SI)로 현대증권 인수에 참여해달라는 투자제안을 받아 검토 중"이라고 공시한 지 하루 만이다. 해외 출장 중이던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의 귀국 이후 '깜짝 베팅'을 할 것이라는 예측까지 나왔지만 결국 불참으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미래에셋은 과열 경쟁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에 대한 부담감이 컸던 데다 금융당국의 부정적인 눈치도 불참의 이유가 된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LK투자파트너스와 컨소시엄 구성을 검토 중이라고 알려지자 미래에셋을 '공룡'으로 묘사하는 등 관심이 지나치게 확대됐다"며 "현대증권은 분명히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지만 과열 경쟁은 대우증권 인수 이후 합병작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현대증권 인수에 뛰어들 경우 자금부담도 미래에셋의 발목을 잡았다. 미래에셋은 대우증권 인수를 위해 이미 8,000억원가량을 차입한 상황에서 현대증권 인수를 위해서도 수천억원의 자금을 외부에서 조달해야 하는 상황이다. 미래에셋 관계자는 "글로벌 투자은행(IB)으로 거듭난다는 목표는 변함이 없다"며 "당분간은 대우증권과의 합병 시너지 창출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을 SI로 끌어들이지 못한 LK투자파트너스는 다른 금융사 2곳과 컨소시엄 구성을 논의할 예정이다. LK투자파트너스 외에 지난달 현대증권 매각 예비입찰에 참여한 곳은 한국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파인스트리트그룹·글로벌원자산운용 등이다. 본입찰은 25일 진행된다.

한편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23일 정례회의를 열고 미래에셋증권이 KDB대우증권 지분 43%를 인수, 대주주가 되는 데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유주희·송종호기자 ginger@sed.co.kr


관련기사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